(토마토칼럼)AI시대, 너무 겁내지는 말자
2024-06-11 06:00:00 2024-06-11 06:00:00
AI 시대임이 제법 실감나는 요즘입니다. 일상 속에서 부지불식간에 AI를 접하는 일이 점차 잦아지고 있는데요. 가령, 인터넷 서핑을 할 때면 내 머릿속 생각이라도 읽은 듯 취향 맞춤형 광고가 자꾸만 나를 따라다니고요. 각종 상품이나 서비스와 관련해 해당 회사의 홈페이지나 앱에 상담 문의를 남기려고 하면 자꾸 AI챗봇이 등장해 나랑 이야기하자고 권하기도 합니다. 
 
시대 흐름에 뒤처질세라 내가 먼저 AI를 찾을 때도 있습니다. AI의 현주소를 시험해보고자 생성형AI의 대표 주자 격인 챗GPT에 궁금한 법안에 대한 문의, 그래픽 이미지 생성 요청, 쇼핑 리스트 추천 요청 등을 해본 일이 있는데요. 프로그램이 빙그르르 몇초간 돌다가 뚝딱 하고 그럴듯한 답을 내놓는 모습에 처음에는 무척이나 놀랐던 게 기억납니다.
   
다행인지 불행인지 모든 AI가 아직은 챗GPT만큼 똑똑하지 않습니다. 아직 좀 덜 떨어진 듯한 음성AI가 탑재된 스마트폰은 자꾸만 내 일상대화를 명령으로 잘못 인식해 뱅그르르 돌며 오류를 내기도 하고요. TV와 연결된 AI스피커 역시 이와 유사하게 맥락을 잘못 알고 불쑥 사람 간 대화에 끼어들어 당황스럽게 하기도 하죠. 챗GPT마저도 쓰다보면 한계점이 드러납니다. 꽤 그럴 듯한 답변을 멋들어지게 쏟아내긴 하지만, 인터넷 상에 존재하지 않는 정보는 찾아내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세밀한 조건의 정보 찾기, 정교한 취향을 반영한 정보 찾기와는 아직은 거리가 있어요. 챗GPT의 능력은 인터넷이라는 망망대해를 헤쳐가며 불굴의 의지로 핀셋으로 내가 원하는 정보를 콕 집어 찾는 '집착형 검색'과는 다소 별개로 보이더군요. 
 
현재의 AI는 정답보다는 패턴을 찾는 것이라고들 하는데요. 결국 이 패턴 정보를 누가 어떻게 읽어내고 또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능력치가 배가될 수도 있고, 자칫 잘못하면 허언증 환자가 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역설적이게도 AI 시대에 더욱 중요해진 건 사람의 언어 능력, 소통 능력이 아닐까 합니다.
 
마침 10일 한국은행도 '노동시장에서 사회적 능력의 중요성 증가'라는 이슈노트를 발간하며 AI 시대를 맞아 사회적 능력이 더욱 중요해진다는 점을 짚었는데요. AI를 너무 경외하거나 혹은 무작정 두려워하는 태도를 갖기보다는 조금은 객관적인 거리를 두고 냉철히 바라보는 것이 어떨까 싶네요. AI가 나의 능력에 어떤 날개를 달아줄 수 있는지 혹은 행여 나에게는 불필요한 요소까지 묶어서 과대포장된 부분은 없는지 찬찬히 살펴보는 식으로 말입니다. 대다수 보통 사람들, 사용자의 입장은 기술 개발의 최전선에 선 사람들이나 정책 입안자들과는 조금은 다를 테니까요.
 
김나볏 테크지식산업부장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나볏 테크지식산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
인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