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 기자
(귀농의 역설)①인생 2막 귀농·귀촌 '러시'..성공은?
지난해 귀농·귀촌 4만4586가구..'사상 최대'
베이비부머 은퇴·경제적 이유 등 맞물려
억대 부농(富農) '하늘의 별따기'..'빈부격차' 심각
2015-03-23 16:08:50 2015-03-23 16:08:50
[뉴스토마토 박진아기자] 지난해 귀농·귀촌 가구가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치솟는 전셋값과 좁은 취업문 등 도시의 팍팍한 삶을 포기하고 농촌으로 눈을 돌리는 인구가 많아지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장밋빛 미래도 잠시, 이 같은 '농촌드림'이 현실화한 사례는 찾아보기 힘들다. 치밀한 준비와 탄탄한 전략 없이는 빚만 늘릴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이에 따라 <뉴스토마토>는 국내 귀농·귀촌 현상을 살펴보고 이를 성공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필요한 정책적 지원이 무엇인지 짚어본다. (편집자)
 
지난해 팍팍한 도시 생활을 청산하고 농촌으로 돌아간 귀농·귀촌자 수가 4만4000가구를 넘어서면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특히 40대 이하 젊은 층의 농촌 유입이 크게 늘었다. 베이비부머(1956~65년생)의 은퇴가 본격화되고 치솟는 주거 비용과 교육비 등 경제적 요인 등이 농촌으로 발길을 돌리게 했다는 분석이다.
 
귀농·귀촌 인구는 해마다 지속적으로 더 늘어날 전망이지만, 성공 사례는 드물다. 그만큼 정착하기가 쉽지 않다는 얘기다. 전문가들은 치밀한 준비와 탄탄한 전략만이 살아남기 위한 방법이라고 조언한다. 여기에 정부의 체계적인 정책적 지원도 뒷받침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40대 증가세 두드러지고 50~60대 비중 가장 높아
 
23일 농림축산식품부와 통계청의 '2014년 귀농·귀촌인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귀농·귀촌 가구는 총 4만4586가구(8만855명)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자료=통계청)
 
귀농·귀촌 가구는 2001년 880만가구에서 2011년 1만가구를 돌파한 뒤 2012년 2만7008가구, 2013년 3만2424가구 등으로 매년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눈에 띄는 것은 비교적 젊은 층의 귀농·귀촌 가구의 증가세다. 지난해 가구주가 40대 이하인 귀농·귀촌 가구는 1만7611만가구로 2013년 1만2318가구 보다 43.0%나 급증했다. 이는 모든 연령대 중 가장 높은 수치로, 귀농·귀촌 가구 평균 증가율(37.5%)보다도 훨씬 높다.
 
(자료=통계청)
 
이처럼 귀농·귀촌이 큰 폭으로 늘어난 가장 큰 이유는 베이비부머 세대의 은퇴가 꼽힌다. 실제 통계청의 집계를 보면 귀농·귀촌 가구는 베이비부머 세대인 50~60대 가구 비중이 52%로 가장 높다.
 
여기에 매년 치솟는 전셋값 등 주거 비용과 자녀 사교육비 등 경제적인 이유도 영향을 미친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2013년 귀농·귀촌 가구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보면 농촌을 찾는 이유로 '경제적인 목적(45.4%)'을 1위로 꼽았다.
 
아울러 경제가 저성장 기조를 이어가면서 취업문이 좁아지고 먹고살기 힘들어진 젊은층이 농촌에서 살길을 찾는 점 역시 귀농·귀촌 인구를 늘렸다.
 
이준원 농식품부 차관보는 "베이비부머 세대의 은퇴가 가속화되고 기대수명이 늘면서 장년·노년층의 탈도시화 흐름이 지속되고 있다"면서 "저성장 기조로 청장년 고용여건이 불안정해지자 농촌에서 비즈니스 기회를 찾으려는 젊은층도 늘고 있다"고 설명했다.
 
◇억대 부농 100가구 중 1.4가구.."준비 철저히 해야"
 
전문가들은 향후 은퇴자가 많아지고 기대수명도 늘어나면 도시인들의 귀농·귀촌 현상이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준원 차관보는 "인구사회적 흐름, 경제적 여건, 농업·농촌가치에 대한 인식 변화 등을 고려할 때 귀농·귀촌 증가세는 상당기간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나 급증하고 있는 귀농·귀촌 가구 중에서 '부농'에 성공한 사례는 찾기 힘들다. 실제 농식품부에 따르면 2011년 기준 연간 1억원 이상 소득을 올린 전국의 부농은 1만6722명으로 전체 농가의 1.42%에 불과했다. 농가 100가구당 겨우 1가구만이 부농이라는 얘기다. 귀농에도 빈부격차가 심각하다는 의미다.
 
이는 미흡한 준비와 경쟁력 없는 전략 등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또 현실과 동떨어지고 열악하기만 한 정부 정책도 귀농의 현실을 더욱 어렵게 한다는 지적이다.
 
박시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귀농·귀촌 비용 증가와 농업장래의 불확실성 등이 귀농·귀촌 증가 추세에 악재가 될 수 있다"면서 "우선은 귀농·귀촌 촉진보다는 안정적인 정착을 유도하는 쪽으로 정책이 바뀌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계속)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