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 기자
"근로시간 단축 보완책 필요…탄력적 근로시간제 단위기간 늘려야"
중소기업연구원 '국내·외 근로시간 단축 지원 현황 및 정책과제' 보고서
2018-05-07 16:10:03 2018-05-07 16:10:03
[뉴스토마토 김나볏 기자] 근로시간 단축에 따른 중소기업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탄력적 근로시간제 단위기간을 선진국 수준으로 늘려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탄력적 근로시간제는 특정 단위기간 동안 평균 근로시간을 준수하되 필요시 추가 근무를 허용하는 것으로, 우리나라는 현재 단위기간이 최대 3개월인 반면 미국과 일본, 프랑스는 1년까지 가능하다.
 
7일 중소기업연구원이 공개한 '국내·외 근로시간 단축 지원 현황 및 정책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경우 탄력적 근로시간제의 단위기간을 2주(취업규칙) 또는 3개월(서면합의)로 짧게 명시하고 있어 중소기업들이 납기 충족에 애로를 겪고 있다. 2017년도 중소기업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내 중소제조업의 하도급 기업 비중은 41.9%이며, 이들 하도급 중소제조업의 위탁기업 의존도는 81.4%다. 특히 위탁기업과의 거래 시 애로사항 중 '납기 단축 촉박'이 차지하는 비중이 34.1%에 달한다.
 
노민선 중소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이 보고서에서 주요 국가들이 근로시간을 단축하면서 그 보완책으로 탄력적 근로시간제의 단위기간을 길게 설정해 운영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미국, 일본, 프랑스의 경우 최대 단위기간을 1년으로 설정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일본은 노동 협약 시 '특별조항'을 넣어 연중 6개월 동안 별도의 제한 없이 근로시간 한도 초과를 허용한다. 프랑스는 50인 미만 중소기업의 경우 노사합의로 근로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독일의 경우 단위기간을 최대 6개월로 설정하고 있지만, 노사 합의 시 6개월을 초과하는 기간으로 제도의 도입이 가능하다.
 
자료/중소기업연구원
 
아울러 노 연구위원은 근로시간 단축을 조기에 도입하는 중소기업과 해당 근로자에 대한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노 연구위원은 "현재 시행하고 있는 '일자리 함께하기' 지원사업의 예산을 확대하고 지원요건을 완화해서 활용도를 제고할 필요가 있다"며 "조기 도입 중소기업에 대해서는 정부 지원사업 참여 시 우대하고, 해당 근로자에 대해서는 임금 손실분을 보전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발굴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주요 국가들은 근로시간 단축을 촉진하고, 중소기업과 근로자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다양한 지원정책을 시행 중이다. 일본은 근로시간 단축 시 조기 단축 기업에 대한 지원을 실시했으며, 2018년도에 근로시간 단축 지원예산을 전년 대비 2배 이상 확대했다. 프랑스는 근로시간 단축 비율과 고용창출 규모에 따른 보조금과 사회보장분담금을 지원했으며, 개인에 대한 지원을 병행했다. 독일은 계절 등 특정 이유로 근로시간이 줄어들 때 해고를 방지하고 근로자가 손실되는 급여를 받을 수 있도록 조업단축급여를 지원하고 있다.
 
특히 근로시간 단축에 따른 중소기업과 근로자의 피해를 최소화하면서 중소기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방안을 노·사·정이 함께 모색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노 연구위원은 "과도한 노동시간이 근로자의 일과 가정생활의 불균형 현상을 초래하기 때문에 근로시간 단축은 필수적이다. 하지만 중소기업 입장에서 근본적인 대책은 근로시간 단축에 따른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라며 "근로시간을 단축한 주요 국가들은 노·사·정의 노력으로 단축 이후 5년간 생산성을 향상시켰다"고 강조했다. 특히 일본의 경우 1993년 이후 근로시간 단축에 따른 생산성 향상을 위해 다양한 지원사업을 실시하고 있으며, 2018년 2월 9일 각의결정에 따라 '생산성향상특별조치법' 제정을 추진하고 있다.
 
구체적 방법으로는 중소기업 협단체와 전문기관 등을 활용해 근로시간 단축 이후 생산성 향상 및 교대제 개편을 위한 컨설팅 실시, 중소기업 사업주와 근로자 간의 성과공유 노력에 대한 인센티브 확대 등이 언급됐다.
 
김나볏 기자 freenb@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