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 기자
거래시간 30분 늘렸지만 정작 거래량은 감소
당국, 중국증시와 중첩시간 증가 등 투자자 편의 앞세워
2019-02-12 00:00:00 2019-02-12 00:00:00
[뉴스토마토 신항섭 기자] 주 52시간제를 앞두고 노동계의 거래시간 원상복구 목소리가 점점 커지고 있다. 특히 거래시간을 늘리며 기대했던 거래 증가의 실효성이 미미하다는 점을 앞세우고 있다. 반면 당국은 투자자의 편의를 제고하고 글로벌 시장으로 도약하기 위한 의미있는 정책이라는 입장이다.
 
11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말 사무금융노조는 한국거래소 주주들에게 ‘거래시간 원상회복’을 요구하는 주주제안을 촉구했다. 노조 측은 해당 주주제안에 대해 금융투자업계 노동자의 노동시간 단축과 금융 공공성 확보를 위함이라고 밝혔다.
 
거래시간 연장은 2016년 한국거래소가 증시 성장을 위해 마련했던 정책이다. 당시 거래소는 3~8% 수준의 유동성 증대로 시장의 성장발판이 마련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시행 이후 오히려 거래량이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났고, 이에 노조와 학계를 중심으로 해당 정책에 대한 비판이 나오고 있다.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거래시간이 처음 연장됐던 2016년 8월의 전체 거래량은 약 78억주로 전년 같은 기간의 83억주보다 적었다. 연장 직전 24개월과 연장 이후 24개월간의 월평균 거래량을 비교한 결과, 오히려 9.95%가 감소했다. 월평균 거래량을 전체 상장 주식수로 나눈 거래비율도 연장 직전 대비 21.9% 감소했다. 이에 대해 학계는 국내 주식시장은 금융허브가 아니기 때문에 연장 효과가 적다고 설명했다.
 
 
노조는 거래시간이 주 52시간 근무제와도 연관성이 높다며 당국을 압박하고 있다. 노조 관계자는 “증권거래 시간이 단축되지 않으면 금융투자업계는 올해 7월1일부터 본격 시행되는 주 52시간 근무제를 위반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거래시간에 대한 금융당국은 입장은 여전히 신중하다. 거래시간이 연장된 지 2년반 밖에 되지 않았고, 중국 증시 거래시간과 겹치는 시간대가 늘어 투자자에게 실시간 대응을 가능케 했다는 판단 때문이다.
 
한국거래소 측은 “(거래시간 연장은)투자자의 거래 불편 해소와 글로벌 경쟁력 제고, 증권업의 활력제고 등으로 인해 시행된 것”이라며 “중국시장의 주가 변동에 대해 즉시 대응할 수 있는 등 글로벌 증권거래소로 성장하는 데 의미있는 정책”이라고 덧붙였다.
 
한편에서는 주 52시간 근로제와 거래시간 연장의 상관관계가 크지 않다는 분석도 있다. 국내보다 긴 주식거래 시간을 갖고 있는 일부 해외 사례가 있기 때문.
 
한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유럽의 경우, 오전 9시부터 저녁 5시까지 증시가 열리고 근로시간 규제가 있지만 큰 문제가 되지 않고 있다”면서 “52시간 근로제와 30분 거래시간 연장이 상충된다고 보기 어렵다”고 말했다. 또 그는 “(거래시간은)노사합의를 통해서 해결할 수 있는 부분”이라고 덧붙였다.
 
신항섭 기자 kalthe@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