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 기자
(인터뷰)‘우상’ 설경구, 스스로 증명한 가치의 크기
“기존 상업 영화와 다른 라인 많은 작품…불친절했다”
“이수진 감독 집요함 두 손 두 발, 그래도 다시 작업”
2019-03-19 00:00:00 2019-03-19 00:00:00
[뉴스토마토 김재범 대중문화전문기자] 한때 충무로 연기신 4대 천왕으로 불렸다. 내로라하는 시나리오가 그에게 먼저 들어갔다. 기획되는 영화의 캐스팅 0순위는 항상 그의 이름이 올라와 있었다. 사실 그것도 한때였다. 내리막길을 걷기 시작했다. 결과론만 따지고 보면 그도 한 물 간 그 시절의 스타로 불렸다. 시간의 흐름을 그 역시도 어쩔 수 없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그래서 썩어도 준치란 말도 있지 않나. 그는 이 고리타분한 옛말을 완벽하게 증명해 냈다. 내공은 어디 가지 않았다. 특유의 존재감과 캐릭터 해석력으로 왕년의 영광을 조금씩 회복했다. 그리고 영화 우상을 통해 설경구는 한때란 수식어를 지금도란 찬사로 바꿔 버렸다. ‘썩어도 준치가 아니라 지금도 대어란 진짜 평가를 스스로 이끌어 냈다. 설경구와 우상그리고 이수진 감독과 한석규 천우희. 아마도 이 조합은 웬만한 블록버스터에서도 보기 힘든 조합이 됐다. 그 속에서 설경구는 바짝 날이 선 칼을 휘둘렀다. 세월의 흐름까지 더해졌으니 이젠 그는 강호의 명검이 돼 버렸다.(*이 인터뷰 스포일러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배우 설경구. 사진/CGV아트하우스
 
우상언론 시사회가 열린 뒤 며칠 후 서울 삼청동에서 설경구와 만났다. 언론 시사회 이후 영화 자체의 어려움이 많다는 평이 쏟아졌다. 직설적인 표현보단 은유적이고 형식적인 스토리 라인에 생경함이 먼저 느껴졌다. 사실 은유적이고 형식적인 구성이라는 것도 무리가 있다. 이수진 감독은 우상자체에 방점을 찍고 스토리를 구성했다. 제목 자체가 직접적으로 이 영화의 모든 것을 담고 있었다.
 
하하하. 그러게요. 왜 그렇게 만드셔서(웃음). 시나리오에서도 기존 상업 영화의 흐름과는 좀 다른 라인이 많았어요. 오히려 워낙 촘촘했죠. 전 일반적으로 시나리오를 받으면 처음에는 아주 러프하게 읽어요. 그냥 한 번 흐름대로 봐요. 근데 이건 그렇게 읽으니 퍼즐 자체가 안 맞더라고요. 그래서 다시 꼼꼼하게 정독했죠. 그렇게 두 번 읽고 바로 출연하겠다고 결정했죠. 처음부터 시나리오가 불친절하다는 정보를 알고 봤어요. 거기에 석규 형님과 천우희. 안 할 이유가 없더라고요.”
 
우상은 세 사람이 각기 다른 축으로 스토리를 이끌어 간다. 설경구가 맡은 유중식은 영화 초반 이후 등장한다. 아들의 죽음 이후 급격하게 변화하는 인물이다. 구명회(한석규) 그리고 련화(천우희)와 달리 주체적으로 스토리를 끌어 가는 인물이 아니다. 외부의 반응에 대응하고 반응하는 인물이다. 그래서 감정적으로 발산하는 것이 아닌 무언가를 감추고 끌어 안고 영화 내내 관객들을 붙잡는다.
 
배우 설경구. 사진/CGV아트하우스
 
맞아요. 그래서 저 역시도 쉽지 않았어요. 석규 형님이 맡은 명회나 우희가 연기한 련화 모두 자신에게 닥친 일을 넘어서려는 인물들이잖아요. 반대로 전 외부의 반응에 리액션을 줘야만 해요. 그리고 대사도 별로 없잖아요. 하하하. 그래서 리딩 할때도 전 진짜 별거 안했어요(웃음). 거기에 뭔가 속내를 드러내는 것도 아니고. 이해하기 힘들었죠. 결과적으로 중식의 반응 자체가 결과로 이끌고 가는 선택이란 것에 방점을 찍고 가니 이해가 되더라고요. 그냥 운명 자체는 정해져 있고 거기로 가는 선택만 있는 게 아닐까 하는.”
 
그런 선택은 중식의 아들 죽음에서 출발한다. 그는 영화에서 아들 부남의 죽음 원인에 집착한다. 아버지로서 당연한 일이다. 아들의 죽음에 감정을 폭발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내 아들의 아내인 련화에게 집착한다. 그의 행적으로 뒤 쫓는다. 이제 아들의 죽음은 큰 관심이 아니다. 이미 죽은 아들이다. 아들 죽음에 대한 분노는 핏줄에 대한 당연한 반응이다. 하지만 련화에 대한 집착은 기묘했다. 결과적으로 가족에 대한 집착처럼 보였다.
 
중식은 뭐랄까요. 핏줄에 대한 부모로서의 반응이라기 보단 가족에 대한 울타리가 중요한 인물이라고 봤죠. 중식의 아내가 있는지 중식이 어떻게 살아온 인물인지도 안 나오잖아요. 막연한 상상이었죠. 좀 불행한 삶을 살아온 인물이기에 가족에 대한 애착이 크고. 그런데 아들이 죽었고. 며느리인 련화가 살아 있는데 임신 중이고. 그 뱃속의 아이가 누구의 아이이던 자신만 눈을 감고 있으면 또 다른 가족이 생기는 것이고.”
 
배우 설경구. 사진/CGV아트하우스
 
설경구는 중식이란 인물의 내면을 이런 방식으로 이해하면서 드러나는 지점에서도 자신만의 해석을 집어 넣었다. 우선 외모적으론 머리를 노랗게 탈색했다. 촬영 기간 내내 머리를 노랗게 유지하느라 엄청나게 고생을 했단다. 영화를 보면 행동에서도 기묘한 모습을 볼 수 있다. 다리를 약간 저는 모습이다. ‘장애를 표현한 게 아니다. 모두가 설경구의 계산이 들어간 표현이었다. 이런 설정이 중식을 더욱 도드라져 보이게 했다.
 
영화를 보시면 련화의 전 동거남에 대한 얘기가 나와요. 그 사람이 다리를 저는 장애가 있었거든요. 그걸 이용해 관객분들에게 혼선을 주면 어떨까 싶었죠. 나중에는 신발에 병뚜껑을 넣고 찍었어요. 의식적으로 저는 게 아니라 실제로 불편함을 주기 위해. 거의 모자를 쓰는 것도 혹시란 혼선을 줄 수 있을 것 같았죠. 탈색은 아들이 4~5세 지능을 가진 지적 장애로 나오잖아요. 혹시라도 잃어버리면 아빠랑 머리가 같은 걸로 찾으려는 방식으로 설정했죠. 촬영 6개월 동안 유지했어요. 나중에는 머리가 부서지더라고요. 하하하.”
 
한석규 천우희도 마찬가지였지만 설경구 역시도 고단했던 지점은 따로 있었다. 바로 이수진 감독의 집요한 촬영 방식이다. 장편 영화는 한공주에 이어 두 번째다. 단 두 편을 찍었지만 이수진 감독은 충무로 내로라하는 배우들이 가장 작업해 보고 싶은 감독으로 손꼽힌다. 그리고 설경구 역시 집요함에선 첫 손에 꼽히는배우로 정평이 나 있다. 그럼에도 그는 이 감독의 집요함에 혀를 내둘렀다.
 
배우 설경구. 사진/CGV아트하우스
 
한 장면도 단 한 번에 오케이가 난 게 없어요(웃음). 촬영 때 이 감독이 좋아요그러면 제가 이제 그만 좀 합시다라고 말 할 정도였으니. 하하하. 그리고 리듬 찾기고 힘들었어요. 워낙 템포 자체가 느렸어요. 한 장면을 찍을 때마다 자신이 생각한 모습이 안 나오면 집요하게 달려들어요. 진짜 보기 드문 집요한 감독이에요. 정말 대단해요. 그럼에도 저희 모두 수긍할 수 밖에 없었으니. 만들어 내거든요.”
 
우상에서 가장 의아했던 지점은 중식이 광화문 이순신 장군 동상의 목을 파괴하는 테러를 감행하는 장면이었다. 영화 중간 흘러가는 대사로 처리되는 힌트가 나오기는 한다. 하지만 집중하지 못하면 놓칠 수 있는 지점이다. 그래서 영화 마지막 지점 중식이 테러범으로 변모되는 과정이 언뜻 개연성에서 벗어난다는 지적도 많았다. 그는 이 지점을 집착의 완성정도로 설명했다. ‘우상을 만든 이수진 감독의 의도가 완성되는 지점이라고.
 
점쟁이에게 이 나라에서 가장 큰 사람 목을 날려라란 조언을 들었단 대사가 흘러가듯 나와요. 글쎄 그게 누굴까. 그냥 단순하게 가장 높이 서 있는 사람 정도. 광화문에는 세종대왕 동상도 있는데? 그냥 중식에겐 이순신 장군 동상이 가장 크게 보인 거에요. 중식의 단순하고 순수한 면이 그렇게 부각되고 결과적으로 나온 거라고 봤죠. 아들 이름도 부남이잖아요. 성이 씨이니 이름이 유부남이죠. 아들이 다음 생에선 진짜 결혼한 유부남이 됐으면 하는 어떤 집착이랄까.”
 
배우 설경구. 사진/CGV아트하우스
 
설경구도 마찬가지고 한석규 천우희도 그랬다. 천우희는 한공주에 이어 두 번째다. 이수진 감독과 함께 작업을 해 본 배우들은 그 집요함에 혀를 내두르지만 그의 작업 방식에 고개를 끄덕이게 된다고. 그래서 다음 작품에서도 무조건 그와 다시 한 번 만나기를 희망한다고. 이미 설경구 역시 고개를 끄덕였다. ‘다음 작품은 인연이라고 배우들의 정형화된 대답이 나오기 마련이라면 설경구는 이수진 감독과는 무조건 다시 만나고 싶다고 말했다.
 
영화에서 제가 등장하는 첫 장면이 트럭을 몰고 가는 모습이잖아요. 저의 뒷모습만 나오는 건데. 그걸 스물 몇 번을 찍었어요. ‘뭐 이런 감독이 다 있지싶을 정도였죠. 제 경험에 이 정도로 집요한 감독은 이창동 감독이 유일했어요. 이창동 감독님이 배우의 감정에 집요하게 매달린다면 이수진 감독은 감정을 넘어서 그 화면 자체의 미장센까지 매달려요. 배우로선 작업 자체가 상당히 힘들지만 무조건 성장할 수 밖에 없죠. 꼭 다음 작품에서도 만나고 싶어요. 단 조금은 집요함을 버렸으면 해요. 하하하.”
 
김재범 대중문화전문기자 kjb517@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