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 기자
LG화학·삼성SDI "배터리, ESS 화재 원인 아냐"
정부 결과 발표 적극 반박
2020-02-06 15:00:00 2020-02-06 15:00:00
[뉴스토마토 김지영 기자] LG화학과 삼성SDI가 정부의 ESS(에너지저장장치) 화재 조사 결과 발표에 강하게 반발했다. 정부의 설명과 달리 ESS에 쓰인 두 회사의 배터리는 화재의 직접적인 원인이 아니라는 것이다.
 
LG화학과 삼성SDI는 6일 정부 'ESS 화재 조사단'의 사고 분석 발표에 해명 자료를 내고 이들이 지목한 원인에 대해 조목조목 반박했다.
 
이날 ESS 화재 조사단은 지난해 8월 이후 발생한 5건의 사고 중 4건이 배터리 이상으로 불이 났다고 발표했다. 4건 중 LG화학 배터리를 쓴 곳은 충남 예산과 경북 군위 태양광 발전소 2곳이며, 삼성SDI는 강원 평창 풍력발전소와 경남 김해 태양광 발전소 2곳이다.
 
조사단에 따르면 이들 4건의 화재는 내부 발화 시 나타나는 용융흔적이나 전압편차, 충·방전 이상 현상 때문에 발생한 것으로 전해졌다. 강원 평창 화재 배터리의 경우 배터리 보호기능도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배터리가 아닌 외부 요인으로 불이 났다고 밝혀진 나머지 1건은 경남 하동에서 발생한 화재로 LG화학 배터리를 사용했다.
 
LG화학이 6일 정부의 ESS 화재 원인 조사 발표에 "배터리는 직접적원 원인이 아니다"라고 해명했다. 사진/뉴시스
 
LG화학은 이에 "지난 4개월간 가혹한 환경에서 실시한 자체 실증실험에서 화재가 발생하지 않았다"며 조사단이 화재 원인으로 지목한 용융흔적, 이물질 등은 배터리 사용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주장했다.
 
특히 용융은 고체가 열을 받아 액체가 되는 현상으로, 배터리 외 다른 부분에서 화재가 발생해도 불이 배터리로 옮겨와 이 흔적이 생길 수 있다고 설명했다. 용융흔적만을 가지고 배터리 내부에서 불이 붙었다고 단정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밖에 일부 파편이 양극판에 점착되거나 음극판과 분리막 사이 이물질이 확인된 것도 화재의 직접적인 원인은 아니라고 주장했다.
 
삼성SDI 또한 조사단이 분석한 배터리는 화재 현장이 아닌 다른 현장의 배터리라며 "지난해 말, 조사단은 평창과 김해에 설치된 배터리와 유사한 시기에 제조한 배터리를 적용한 다른 현장의 데이터와 제품을 요청했다"고 말했다. 이어 "조사단이 분석한 내용은 화재가 발생한 현장이 아닌 동일한 시기에 제조돼 다른 곳에 설치·운영 중인 배터리를 분석한 결과"라고 지적했다.
 
외부 요인으로 불이 난 것으로 드러난 경남 하동군 진교면 태양광발전설비 ESS 화재 현장. 사진/뉴시스
 
또 다른 화재 원인으로 지목한 큰 전압편차 또한 화재 발생 조건이 아니라는 설명이다. 삼성SDI 관계자는 "전압 차이는 사용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현상"이라며 "조사단이 주장하는 큰 전압편차는 충전율이 낮은 상태에서의 데이터로, 이는 에너지가 없는 상황이기 때문에 불 자체가 날 수 없다"고 말했다.
 
강원 평창 배터리 보호장치가 작동하지 않았다는 분석도 잘못됐다는 입장이다. 조사단이 제시한 운영데이터는 화재 발생 3개월 전 데이터며, 해석 오류라는 설명이다.
 
삼성SDI는 "ESS에서 배터리는 유일하게 에너지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가연물로 화재를 확산하는 역할을 할 뿐 점화원은 아니다"라며 "화재 원인으로 내세운 근거들도 왜 그런지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없다"고 밝혔다.
 
한편 앞서 정부는 2017년 8월 2일부터 지난해 5월 26일까지 발생한 ESS 화재 23건의 원인을 조사하기 위해 민·관 합동 조사위원회를 구성했다. 지난해 6월 조사위는 배터리보호시스템 미흡 등을 원인으로 지목하며 배터리셀 결함은 아니라고 밝힌 바 있다.
 
김지영 기자 wldud91422@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