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 기자
당국 ELS규제 막판 조율…발행규모 제한-건전성 강화 투트랙 전략
"양적·질적 규제 불가피"
헤지비용 감당할 수준 유도…파생상품 위험비중 상향
2020-05-25 06:00:00 2020-05-25 06:00:00
[뉴스토마토 심수진 기자] 금융당국이 증권업계의 주가연계증권(ELS) 마진콜 사태 충격을 방지하기 위해 ELS 총량 규제를 내놓는다. 자기자본 대비 ELS 발행 비중을 제한하는 방식으로 전체 ELS 총량을 제한하는 동시에 증권사의 건전성 비율에서 관련 상품의 위험 비중을 높이는 것으로 리스크 관리를 유도할 전망이다.
 
24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국내 ELS 시장 건전화를 위해 ELS 총량 규제와 리스크 관리 강화라는 두 가지 방법을 놓고 고심중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ELS 총량규제가 거론되고 있지만 보다 정교한 리스크 관리 강화 체계 마련도 논의되고 있다"며 "전체 총량을 줄이느냐 리스크를 줄이느냐 모두를 놓고 금융위와 논의하고 있는 중"이라고 말했다.
 
현재 논의되고 있는 ELS 총량 규제는 증권사별 자기자본을 기준으로 ELS 발행액 한도를 정하는 것이다. 앞서 당국은 은행권의 고난도 금융상품 신탁 판매를 금지, 주가연계신탁(ELT)상품의 신탁총량제를 도입한 바 있다. 당국은 ELT 신탁총량제처럼 원천적으로 위험의 크기를 줄이는 방법을 고심중이다.
 
당국의 이같은 방침에 증권업계에서는 시장 위축을 우려하며 자율규제에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금융투자협회 등 업계도 자체 규제안 마련에 의견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증권사 관계자는 "당국이 증시 급변 당시 문제가 된 파생상품들에 대한 강력 규제를 추진하는 분위기"라며 "건전성 산정시 파생금융상품의 위험 비중을 높이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다"고 말했다.
 
코로나19 여파로 지난 3월 글로벌 주요지수가 급락하자, 증권사들은 ELS 마진콜 수요 급증에 따른 유동성 문제를 겪었다. 증권사들은 마진콜에 대응하기 위해 원화를 외화로 바꿨는데 당시 달러 공급마저 줄어 일부 증권사는 부도 직전의 위기를 맞기도 했다.
 
당국이 우려하는 것은 ELS 시장 규모가 매년 확대되고 있는 점이다.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지난 21일 기준 ELS 발행 잔액은 51조6176억원에 달한다. ELS는 투자상품인 만큼 주가 하락에 따른 손실은 막을 수 없지만 증권사에게는 자기 부담이 있는 일종의 '신용상품'인데, 만약 상환이 안될 시 대규모 자산의 디폴트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ELS의 자체헤지 비중 쏠림현상에 대한 우려도 나온다. 금감원에 따르면 ELS와 주가연계파생결합사채(ELB)의 자체헤지 비중은 △2016년 52.3% △2017년 55.4% △2018년 56.1% △2019년 58.3%로 계속해서 높아지고 있다. 과거에는 백투백 방식이 대부분이었으나 이제는 자체헤지 비중이 높아졌다. 금감원 관계자는 "증권사가 자체헤지 비중을 높인 것은 시장이 선진화된 것으로 평가할  수 있지만, 이번 코로나19 사태처럼 규모가 커진 상황에서 문제가 생기면 위험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자체헤지를 대응할 수 있는 마지막 수단은 '자본'인데, 자본규모 대비 리스크가 너무 크면 헤지 리스크 감당이 안돼 도산할 수 있다는 것이다.
 
현재 주요 증권사들의 ELS발행 잔액은 △미래에셋대우 5조2975억원 △NH투자증권 3조8571억원 △한국투자증권 6조2660억원 △삼성증권 7조5790억원 △KB증권 5조9169억원 △신한금융투자 4조6546억원 △하나금융투자  3조8153억원 △메리츠증권 2조8579억원이다. 논의되고 있는 자기자본 대비 100% 발행 한도 기준으로 보면 한국투자증권(4조8738억원), 삼성증권(4조7018억원), KB증권(4조6241억원), 신한금융투자(4조2575억원), 하나금융투자(4조355억원) 등은 자기자본 규모를 초과한다. 특히 삼성증권의 경우 자기자본 대비 초과 발행규모가 3조원에 가까운 수준이다.
  
심수진 기자 lmwssj0728@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