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 기자
해양수산도 '한국판 뉴딜'에 고삐…컨 항만 자동화·자율선박 개발 주력
감염병에 항만 마비…4선석 스마트항만 테스트베드 조성
스마트 공동물류센터 2개소 구축…해운물류 유턴기업 지원
해양생태계 보존, 2025년까지 갯벌 4.5㎢ 복원한다
2020-07-16 12:13:15 2020-07-16 12:13:15
[뉴스토마토 이규하 기자] 감염병 여파로 국제 물류의 전략적 요충지인 주요 컨테이너 항만이 중단된 해외사례를 교훈 삼아 자동화 시설인 ‘스마트항만 테스트베드(시험장)’ 조성에 고삐를 죈다. 특히 항만 스마트·자동화와 연계한 지능형 항해, 기관 자동화, 육상제어 시스템 등 자율운항선박 핵심기술 개발에 주력한다.
 
해양수산부는 해운항만 인프라 디지털 전환·스마트 해운물류 시스템 구축·친환경 선박 신시장 창출 등 해양수산 분야의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을 추진한다고 16일 발표했다.
 
우선 항만 운영의 전 과정이 자동화로 탈바꿈한다. 해수부는 감염병 등 모든 재난 상황에서 안전하게 항만을 운용할 수 있는 스마트 항만의 구축에 무게를 뒀다.
 
해양수산부는 해운항만 인프라 디지털 전환·스마트 해운물류 시스템 구축·친환경 선박 신시장 창출 등 해양수산 분야의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을 추진한다고 16일 발표했다. 사진은 올해 초 인천신항 선광 신컨테이너터미널을 방문한 정세균 국무총리 모습. 사진/뉴시스
 
실제로 올해 3월 인도 내 급격한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인도정부의 국가 봉쇄조치가 가동되면서 주요 컨테이너 항만의 통관 등이 마비된 바 있다.
 
이에 따라 해수부는 4선석 규모의 스마트항만 테스트베드 조성을 추진한다. 예비타당성 조사를 거쳐 본격적인 운용까지는 6년의 시간이 소요될 전망이다. 스마트항만 테스트베드 조성 후보지 중 한 곳은 부산항이 가장 유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주요 항만의 배후단지에는 중소기업이 공동 활용할 수 있는 ‘스마트 공동물류센터 2개소’도 조성한다. 스마트 공동물류센터는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센서, 디지털트윈 기술 기반의 화물 입출고?적치 등을 지원한다.
 
해운물류와 관련해서는 ‘글로벌 밸류체인(GVC·글로벌 공급망)’ 변동에 대응할 시스템을 구축한다. 코로나19 이후 제조기업의 생산기지 다변화(중국에서 동남아 등), 각국 기업의 본국 회귀(리쇼어링), 인접국가로 이동(니어쇼어링) 등의 전망에 따라 항만배후단지를 활용한 국내 기업 유턴을 적극 지원한다.
 
항만배후단지 입주조건 완화 및 인센티브 제공 등이 대표적이다. 
 
해양수산 비대면 공공서비스와 관련해서는 해상통신망(LTE-M) 구축과 IoT 장비 보급을 통한 지능형 해상교통정보서비스(e-Nav)를 2021년부터 본격 시행한다.
 
디지털 기반의 비대면 선박검사 제도와 관공선에 대한 원격진단·관리시스템도 신규 도입한다. 해양드론을 활용한 불법어업 단속, 해양환경 감시 등도 확대한다.
 
국립해양박물관·해양과학관 등의 전시콘텐츠를 언제 어디서나 체험할 수 있는 온라인 전시?체험 플랫폼도 구축한다.
 
해양생태계 보존과 관련해서는 2025년까지 갯벌 4.5㎢(누적)를 복원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폐염전·폐양식장 등 훼손·방치된 옛 갯벌지역이나 해수 흐름이 막혀 갯벌 상태가 악화된 곳을 대상으로 해수 유입, 갯벌생태계 위협요인 제거가 이뤄진다.
 
이 밖에도 해저공간을 활용한 온실가스(CO2) 감축을 위해 산업통상자원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환경부와 공동으로 CCUS 통합 실증 및 상용화 기반 구축사업을 2023년까지 추진한다. 해수부는 해저 CO2 저장 상용화를 위해 가장 시급한 대규모 저장소 확보 등의 역할을 담당한다.
 
문성혁 해수부 장관은 “해양수산 분야 코로나19 이후 대응전략을 통해 해양수산업이 코로나19 위기를 기회로 바꾸고, 선도형 경제로 도약할 수 있도록 관계부처와 함께 적극 지원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이규하 기자 judi@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