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게 크게 작게 작게
페이스북 트윗터
눈덩이처럼 적자 쌓이는데 주가는 고공행진…기술특례상장제도, 이대로 안된다
작년 흑자 기업 4분의1 불과…'눈먼 돈' 쏟아붓는 꼴 우려
입력 : 2018-03-29 오전 8:00:00
[뉴스토마토 신송희 기자] 시행 13년째를 맞고 있는 기술특례상장에 대해 제도 보완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끊이지 않고 있다. 기술력 있는 유망기업들에게 폭넓은 투자유치 기회를 부여해 성장 속도를 높이자는 당초 취지와 달리 기업들의 적자 규모는 확대되고 있다. 상장을 주관하는 증권사가 기업의 미래 추정 이익을 지나치게 부풀려 시장의 가치를 왜곡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28일 한국거래소 및 증권업계에 따르면 기술특례 상장은 2005년 ‘바이오메드’ 상장을 시작으로 13년째를 맞았다. 그동안 총 49개의 기업이 기술특례 요건으로 시장에 입성했으며 올해만 벌써 5개의 기업이 시장에 입성했다.
 
기술특례 기업의 숫자는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시행 첫해인 2005년 2개로 시작해 2006년 1개, 2009년 3개, 2011년 3개 등으로 시장 확대가 미흡했지만 2015년 12개, 2016년 10개 등으로 기술특례 상장의 기업수가 늘어났다. 특히 정부가 올해 코스닥 시장 활성화를 위해 기술특례 상장 기업을 확대하고 있어 상장기업은 급속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기술특례 상장 기업들은 대다수가 상장 당시의 추정 이익에 도달하기는 커녕 여전히 적자 상태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기술특례 상장은 2~3년 후의 추정 이익을 감안해 공모가를 산정한다. 즉 현재는 적자이지만, 적어도 3년 후에는 기업이 이익을 낼 수 있다는 것을 가정하고 밸류에이션을 적용한다. 이 과정에서 주관사가 향후 성과를 과도하게 전망할 경우 해당 기업의 가치는 크게 왜곡된다. 결국 손실은 피해자의 몫이다.
 
한 증권사 IPO 관계자는 “미래 이익 추정치로 공모가를 산정하게 되지만, 임상 실패 등에 따른 후속 조치는 없는 상황”이라고 했다. 실제로 2014년 상장한 알테오젠의 경우 지난해 개별 기준 영업손실은 63억원으로 2016년(53억원) 대비 적자가 확대됐다. 반면 상장 해에 발표한 투자설명서에는 추정 영업이익을 2017년도 250억원으로 낼 것으로 예측했다. 추정 근거에는 성장호르몬 바이오베터의 높은 매출 성장과 2017년부터 혈우병치료제 바이오베터의 신규 매출이 기대됐기 때문이다. 결국 성장성이 높다고 평가돼 주식시장에 화려하게 상장했지만, 과대 포장에 따른 손실은 투자자에게 돌아간다. 코스닥 시장 활성화 정책과 함께 제도적 보완이 필요한 이유다.
 
A 증권사 리서치센터장은 “정부가 혁신기업 생태계 조성, 코스닥시장 중심의 자본시장 혁신방안 등과 맞물려 적자 기업에게도 투자 기회를 늘리고 있지만, 성과가 나지 않은 기업에 ‘눈먼 돈’이 들어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신송희 기자 shw101@etomato.com
신송희 기자


- 경제전문 멀티미디어 뉴스통신 뉴스토마토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