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이종용 기자] 시중은행들의 주택담보대출(주담대) 등의 대출금리가 빠르게 오르고 있지만, 예·적금 등 수신금리 인상은 여전히 '요지부동'이다. 은행들의 상반기 누적당기순이익이 이미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예대금리차(대출금리에서 예금금리를 뺀 값)를 최대로 늘리는 방식으로 '이자장사'를 해왔다는 비판이 나온다.
20일 금융권에 따르면 주요 시중은행들의 변동형 주담대 금리가 연 4.8%까지 치솟은 가운데 예·적금 등 수신금리는 여전히 1% 중반대를 넘어서질 못하고 있다.
국내 시중은행 가운데 가장 많은 소매고객을 보유한 국민은행은 잔액기준 코픽스 연동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지난 17일 3.56∼4.76%로 올렸다. 최고 금리 기준으로 연 4.8%에 육박하는 수준이다. 신한은행은 기존 3.15∼4.50%에서 3.17∼4.52%로 상향 조정했으며, 우리은행은 3.25∼4.25%에서 3.27∼4.27%로 올렸다. 농협은행은 2.85∼4.47%이던 금리를 2.87∼4.49%로 높였다.
반면, 예금·적금 등 주요 수신금리는 제자리걸음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같은 기간 대형 시중은행의 1년 정기예금 수신금리는 하단을 기준으로 1.30~1.50%를 나타냈다. 이들 시중은행의 정기예금 수신금리는 평균 1.38%를 보였으며, 전체 주담대 평균금리 3.46%와의 격차인 예대금리차가 2.08%에 달하고 있다.
시중은행들은 대출금리가 금융채 금리에 연동돼 즉각 반영되는 것과 달리 수신금리의 경우 은행에서 책정하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차이가 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지만 소비자들은 이를 납득하기 어렵다.
실제 한국은행이 최근 발표한 상반기 말 기준 금융기관 가중 평균금리를 보면 은행의 총대출금리와 총수신금리 차이인 예대금리차는 잔액 기준으로 2.35%포인트를 기록해 지난 2015년 2월 이후 최대를 기록했다.
업계에서는 금융당국의 예대율 규제 강화에도 불구하고 시장의 금리인상 추세에 따라 예대금리차가 더욱 확대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금감원 관계자는 "금리상승기에 예대금리차가 벌어지는 것은 당국으로서도 어쩔 수 없는 일"이라면서도 "은행이 자금 상품공급자로서 금리를 합리적으로 산정하는지 체계 시스템 등에 대해 면밀히 모니터링 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 시내 시중은행의 현금자동입출금기 모습. 사진/뉴시스
이종용 기자 yong@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