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권대경 기자] 자본의 수도권 쏠림현상이 갈수록 심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0년 최대 유출지역과 유입지역 격차가 39조원이었으나, 2016년에는 65조원으로 더 벌어진 것이다.
산업연구원이 25일 내놓은 '지역소득의 수도권 쏠림 현상 심화'에 따르면 정부의 국가균형발전 의지와는 달리 자본이 서울과 경기도로 한층 더 집중됐다.
보고서에서 기준으로 삼은 금액은 지역의 근로소득과 기업소득을 합친 요소소득이다. 즉 16개 시도의 공간·산업·인력·정주여건 등의 4대 요인을 2000년부터 2016년까지 분석해 요소소득으로 계산한 것이다.
내용을 보면 2016년 자본 최대 유출액은 24조9711억원(충남)이며, 최대 유입액은 40조3807억원(서울)이다. 금액의 차이는 65조3518억원이다. 앞서 2000년 10조4601억원(최대 유출액·전남)과 29조3524억원(최대 유입액·서울)의 경우 차이가 39조8125억원이었다. 즉 16년 동안 25조5393억원(65조3518억원-39조8125억원)이 증가한 셈이다.
2016년 지역별 소득유출입 현황(단위:억원·%) 자료=통계청·산업연구원
해당 기간 유출 증가가 높은 상위 4개 지역은 충남, 경북, 울산, 충북 순이다. 그 중 충남, 경북, 울산의 경우 지역내총생산 대비 요소소득 유출액 비중 순위 또한 상위 3위에 모두 포함돼 지역 경제가 가장 안좋은 곳으로 분석됐다.
반대로 유입 증가가 높은 곳은 서울이 압도적인 1위를 유지했고, 경기도는 2016년 21조9464억원이 들어와 뒤를 따랐다. 서울과 경기의 소득유입 합계는 62조3271억원으로 나머지 소득유입지역의 모든 유입액 합계 23조2225억원보다 2.7배나 높았다. 서울과 경기로의 소득유입 쏠림 현상이 심각하다는 얘기다.
조성민 산업연구원 연구원은 "지역소득 유출과 유입액 규모가 커졌다는 것은 지역간 분배소득 격차가 확대됐다는 뜻"이라며 "소득 유출의 원인인 지역의 산업·인력·정주여건에 대한 종합적인 발전전략을 펼쳐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