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게 크게 작게 작게
페이스북 트윗터
(농정도 사람 중심이다) '미래 블루오션' 농정개혁, 일자리 늘리고 청년농 키운다
동물간호복지사·양곡관리사 등 2800명 육성…청년농 자금·주거·복지 등 집중 지원
입력 : 2018-12-24 오전 6:00:00
[뉴스토마토 이진성 기자] 은퇴한 베이비붐 세대와 청년층의 귀농·귀촌이 증가하면서 농업분야가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주목받고 있다. 최근에는 농업 관련 사업범위가 가공·유통·서비스업으로 확장하면서 산업 일자리 창출 효과까지 큰 것으로 나타나자, 정부가 관련 일자리 창출에 총력을 기울이기로 했다.

 
 
24일 농림축산식품부 등에 따르면 올 1월~11월 농립어업 취업자 수는 전년동기 대비 5만8600명 증가했다. 지난해 상반기 때 전년동기 대비 -1만2300명을 기록한 것과 비교하면 180도 반전한 흐름이다. 지난해 하반기 들어 전년동기 대비 2만4600명 늘어난 것이 단기적 효과가 아니라는 사실을 입증한 결과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은퇴 후 소규모 농업에 종사한 경우가 많은 장년층과 달리, 최근 청년층은 직업으로서 비전을 가지고 농업에 창업하거나 취업하는 형태가 많은 것으로 분석된다"고 설명했다. 실제 연령별 주료 귀농사유를 살펴보면 60대 이상은 자연환경(41.5%)를 꼽은 반면, 30대 이하는 농업 비전(23.1%)이 가장 높았다. 이는 최근 농업의 구조적 변화를 꼽을 수 있다. 농업경영체가 규모화하고 농업법인이 증가하면서 상용근로자와 임시근로자 채용 수요가 증가한 것이다. 특히 관련 산업 일자리까지 확대돼 일자리 창출 효과는 더욱 커지는 상황이다.

농식품부는 이같은 상황을 고려해 내년 청년 영농창업과 고용지원 확대 등 유입 동력을 강화키로 했다. 청년 영농정착 지원과 농업법인 채용, 귀농·귀촌 활성화, 스마트 팜 확산 등을 적극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먼저 청년층 농업 창업·취업자(누적)가 올해 1800여명에서 2022년에는 1만명에 달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새로운 자격·직종을 도입키로 했다. 내년 도입 예정인 관련 자격·직종을 보면 동물간호복지사와 산림레포츠지도사, 양곡관리사, 가축방역위생관리업 등이다. 관련법 및 자격을 신설해 고용을 제도화 하는 등 일자리 기반을 마련키로 했다. 2022년까지 이를 통해 예상하는 일자리 규모는 동물간호복지사 3000명, 양곡관리사 300명, 산림레포츠 지도사 500명 등이다.
 
농식품부 고위 관계자는 "큰 관심 중 하나는 동물간호복지사라는 새로운 직종 만들겠다는 것"이라며 "동물병원 간호사 제도가 없는 점을 고려한 것으로, 일정 규모 이상 도시지역 동물병원에 복지사를 배치하도록 법제화하려 한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다만 농촌지역 소규모 가축병원이 이 제도로 인해 부담을 갖지 않도록 특별한 관리 해 나가겠다“면서 ”꼭 좋은 일자리로 만들어 가겠다"고 강조했다.

청년층의 정착 지원도 내놨다. 농업분야에서 일할 수 있는 기회를 체계적으로 제공하고 주거·복지 등 생활 여건을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청년들이 농업에서 직업적 비전을 찾을 수 있도록 농고·농대 실습 교육을 강화하고 농업진출 대학생 특별장학금을 내년 500명에서 신규로 지원한다. 영농 창업기반이 부족한 청년에 대해서는 자금·농지 지원을 강화하고 스마트팜·농식품벤처 등 첨단기술과 접목한 창업 기반을 조성할 방침이다. 지역단위 유통체계(로컬푸드) 활성화와 연계해 중소규모 청년농 판로 구축에 힘을 보탠다. 아울러 영농 취업 희망 청년에게는 법인 인턴 후 정규직 전환(2019년 120명)을 지원한다.

내년 청년창업농 1600명을 선정해 영농정착지원금을 지원하고, 지원 실적과 의무 이행 관리 강화를 위해 통합관리시스템을 구축하는 안도 제시됐다.  문화·보육 등 생활 인프라를 갖춘 청년주거단지 시범조성 및 청년 창업농들의 자율적 네트워크 조직 활성화 방안을 함께 추진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농업·농촌 사회적경제조직(협동조합, 사회적기업 등)을 통해 공동체 활동에 기반한 일자리를 늘리는 계획을 추진한다. 농업활동을 통해 치유·돌봄·교육 등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회적 농업 실천조직을 올 9개소에서 내년 18개소로 확대하고 경영을 지원한다. 농촌 사회적경제 조직 전국단위 네트워크 구축 및 귀촌인 대상 농촌일자리 연계 플랫폼, 전국 네트워크 등 기반도 구축키로 했다.
 
세종=이진성 기자 jinlee@etomato.com
이진성 기자


- 경제전문 멀티미디어 뉴스통신 뉴스토마토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