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신병남 기자] 지난해부터 주요 은행들이 점포 폐쇄에 속도를 내는 가운데 자동화기기(ATM) 설치 등 고객 불편 해소를 위한 대체수단 마련에는 소홀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8일 금융감독원 금융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말 국민·신한·우리·하나은행 등 4대은행이 운영 중인 ATM은 전년 2만2476대보다 5.1%(1135대) 감소한 2만1341대로 집계됐다. 3년 전인 2016년 2만6275대와 비교하면 무려 4934대나 줄었다.
은행별로 국민은행의 ATM 수가 지난해 말 기준 6777대로 가장 많았고, 신한은행이 5773대로 뒤따랐다. 우리은행은 4808대, 하나은행이 3983대를 운영 중이다. 전년 대비 감소 폭은 우리은행이 568대로 가장 컸다. 이어 국민은행(408대), 하나은행(122대), 신한은행(37대) 순이다.
비대면 영업 확대로 은행이 운영하는 ATM 수는 지난 2015년부터 감소세로 돌아섰다. 유지 비용이 만만치 않은 상황에서 이용자마저 줄어 연간 160만원 상당의 손실이 발생한다는 게 은행들의 주장이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은행 점포 폐쇄 관련 공동절차 시행안'을 적용하면서 은행 점포수는 크게 줄고 있으나, 이를 대체할 수단에는 여전히 인색한 셈이다. 시행안은 은행이 점포 폐쇄시 한 달 전에 이를 알리고, 영향평가를 실시해 해당 지역과 고객에 적합한 대체수단을 운영하도록 하고 있다. 대체수단은 ATM을 비롯해 이동점포, 타 기관·은행과의 창구업무 제휴 등이다.
지난 2018년 15개에 불과하던 4대은행의 점포 통폐합 수는 지난해 79개로 급증했다. 올해 1분기에만 58개 점포를 감축하며 구조조정 속도를 확대하고 있다. 이들 은행은 점포 폐쇄시 "인근 영업점에 통합하게 됐다"며 공지하면서 고객에게 가까운 점포만을 안내하고 있다.
점포 폐쇄 절차가 당국차원의 '모범규준'에서 은행권의 시행안으로 약화하면서 실효성을 잃었다는 지적도 나온다. 당초 금융당국은 은행연합회와 공동으로 모범규준을 제정하려고 했으나 업권 반발에 부딪혀 자율성을 살리는 방향으로 물러났다. 강제성이 사라지면서 은행들이 영업 효율성만 따질 수 있게 됐다는 분석이다.
서울 종로구 세종문화회관 인근에 은행 ATM. 사진/뉴시스
신병남 기자 fellsick@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