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기자
닫기
이승재

tmdwo3285@etomato.com

안녕하세요. 이승재입니다.
대미 협상서 산불까지…'기업'만 보인다

2025-03-27 17:38

조회수 : 5

크게 작게
URL 프린트 페이스북
계엄사태에 따른 탄핵 정국으로 정부의 행정력의 공백이 길어지면서, 국내 주요 대기업들이 대미 협상부터 국내 현안까지 고군분투하는 모습이 전개되고 있습니다. 
 
미국 워싱턴 백악관에서 대미투자 발표하는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사진=연합뉴스) 
 
나라 밖에서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폭탄 위협으로 정상 외교를 통한 정부 간 협상이 중요한 지금,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먼저 대통령과 만났습니다. 
 
정 회장은 지난 24일(현지 시간) 미 워싱턴 백악관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올해부터 2028년까지 4년간 210억달러(약 31조원) 규모의 신규 대미 투자를 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로써 정 회장은 지난 1월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우리 정부나 정치권, 기업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을 직접 만난 최초 인사가 됐습니다.
 
현대차의 대미 투자는 △자동차 생산(86억달러) △부품·물류·철강(61억달러) △미래 산업 및 에너지(63억달러) 등 주요 분야에 걸쳐 이뤄집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같은 투자 계획에 대해 “현대차는 훌륭한 기업”, “감사하다” 등 칭찬 세례를 했습니다. 또 현대차의 투자가 “우리 관세 정책이 효과적임을 증명한다”며 “미국에서 생산하면 현대차는 관세를 지불할 필요가 없다”고도 말했습니다.
 
현대차의 대미 투자는 트럼프 대통령의 수입 자동차 25% 관세 부과에 대응하기 위한 행보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26일(현지시간) 미국에 수입되는 외국산 자동차에 대해 내달 3일부터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공식 발표했습니다. 
 
한국의 자동차는 미국 수출 1위 품목으로 관세가 부과된다면 큰 타격이 불가피합니다.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우리 정부의 발빠른 통상 협상 시도가 절실한 상황입니다. 하지만, 대동령 부재로 외교, 통상 기능이 약해져 한국 정부의 대응이 뒤처지고 있는 게 현실입니다. 이에 정 회장이 앞장서 대규모 대미 투자 전략으로 트럼프 관세 장벽을 정면 돌파한 셈입니다.
 
나라 안에서는 경북지역을 중심으로 번진 대형 산불 피해 지원에도 나서고 있습니다. △삼성 30억원 △SK 20억원 △현대차 20억원 △LG 20억원 △롯데 10억원 △한화 10억원 △HD현대 10억원 △GS 10억원 등을 한국을 대표하는 기업들이 팔을 걷어부쳤습니다.
 
지난 26일 경북 영양군 입암면 방전리 야산에서 산불 진화작업이 이뤄지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27일 오전 5시 기준 최초 발화 지역인 의성을 포함해 5개 시·군으로 번진 산불은 아직도 진화되지 않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기록된 산불 영향 규모는 3만3204헥타르(㏊)에 달하며 이는 지난 2000년 발생한 ‘동해안산불’(2만3794㏊)을 뛰어넘는 역대 최악의 산불로 기록될 것으로 보입니다. 행정부의 컨트롤 타워가 부재한 상황도 이번 산불 피해를 키운 한 원인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정부없는 오늘, 기업만 안팎으로 분주합니다. 
 
이승재 기자 tmdwo3285@etomato.com
  • 이승재

안녕하세요. 이승재입니다.

  • 뉴스카페
  • email
  • facebook
추천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