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기자
닫기
이종용

yong@etomato.com

금융현장의 목소리를 전하겠습니다
부실 중소기업 176곳 구조조정 수술대 올라

금감원, 2016년 중기 신용위험평가 발표

2016-12-06 14:53

조회수 : 2,776

크게 작게
URL 프린트 페이스북
[뉴스토마토 이종용기자] 부실징후가 있는 중소기업 176곳이 구조조정 대상에 올랐다. 지난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대 규모다. 특히, 올 들어 재무구조가 나빠진 부실 제조업에서 구조조정 대상이 크게 늘어났다는 점이 특징이다.
 
6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16년도 중소기업 신용위험평가 결과'에 따르면 올해 구조조정 대상(C∼D등급)으로 선정된 중소기업은 총 176곳이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로 한 해 3차례의 신용위험평가를 했던 2009년(512곳) 이후 가장 큰 규모다. 과거 3년 평균(137곳)보다는 28.5% 증가한 수준으로, 금융위기 이후 최대 규모였던 지난해보다도 1곳 늘었다. 이들 기업은 모두 신규 구조조정 대상이다.
 
앞서 채권은행들은 지난 7월부터 신용공여액이 50억원 이상, 500억원 미만인 기업 중 재무구조가 취약한 2035곳의 신용위험을 평가해 구조조정대상 업체를 최종 선정했다
 
신용위험도는 A∼D의 네 개 등급으로 나뉘는데 C∼D등급이 워크아웃(기업재무구조개선)이나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 등 구조조정 대상으로 분류된다. 부실 징후는 있지만 경영정상화 가능성이 있는 C등급은 71개사, 경영정상화 가능성이 거의 없는 D등급은 105개사다.
 
구조조정 대상에 오른 중소기업 가운데 제조업이 125곳으로 작년과 비교해 25곳 늘었으며, 비제조업은 51곳으로 19곳 줄었다.
 
제조업의 경우 금속가공품제조업(22곳), 휴대폰 반도체 등 전자부품제조업(20곳), 기계장비제조업(19곳), 고무·플라스틱제조업(14곳) 등의 순으로 많았다.
 
금감원 신용감독국 관계자는 "대기업이 하는 중후장대 산업의 협력업체가 많고 전방산업이 어려워지면서 그 협력업체도 직격탄을 맞은 것으로 분석된다"며 "대다수가 부품 제조업체 였다"고 설명했다.
 
지난해외 비교해보면 금속가공품제조업은 14곳 늘었고, 전자부품제조업은 지난해(19곳)에 이어 계속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었다. 전방산업인 자동차, 전자업종 등의 성장 둔화가 영향을 줬다는 평가다.
 
대기업 구조조정 대상이 주로 몰린 조선·건설·석유화학·철강·해운 등 5대 경기민감업종 기업은 구조조정 대상이 26곳으로 전체의 14.8%에 그쳤다. 이들 업종은 부실 대기업이 많은 전통적인 공급 과잉 업종이다.
 
비제조업에서는 경기침체에 따른 내수부진 등으로 직격탄을 맞은 유통업 8곳, 부동산업 7곳, 회원제 골프장 등 스포츠서비스업 5곳 등이 선정됐다. 다만, 유통업은 지난해보다 4곳 줄었고, 스포츠서비스업 5곳은 모두 골프장이었다.
 
금융권이 이들 176개 구조조정 대상 기업에 빌려준 전체 신용공여액은 지난 9월 말 기준 1조9720억원으로 은행권이 88.6%(1.7조원)를 차지했다. 워크아웃, 회생절차 등 구조조정 추진에 따른 자산건전성 재분류 시 은행권이 추가로 적립해야 할 대손충당금은 3200억원이다.
 
금감원은 대손충당금 적립으로 인한 은행권의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총자본비율 하락은 0.02%포인트 정도로, 은행에 미치는 영향은 그리 크지 않을 것으로 분석했다.
 
구조조정대상으로 선정된 기업들은 채권은행 주도의 경영정상화에 돌입한다. C등급 기업에 대해서는 워크아웃을 통해 금융지원과 자구계획 이행을 추진하고, D등급 기업은 법정관리 등을 통해 부실을 정리토록 유도할 계획이다.
 
기업구조조정 촉진법 제정으로 부실징후기업이 정당한 사유 없이 3개월 내 워크아웃 등을 신청하지 않을 때에는 여신회수, 한도축소 등의 여신관리조치를 받게 된다.
 
장복섭 금감원 신용감독국장은 "지난해와 올해 산업 전반의 상황이 좋지 않았는데, 내년에도 불확실성이 상당히 크다"며 "취약 산업을 꼼꼼히 모니터링해 구조조정 대상을 선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2016년도 중소기업 신용위험 정기평가 결과. 자료/금융감독원
 
이종용 기자 yong@etomato.com
 
  • 이종용

금융현장의 목소리를 전하겠습니다

  • 뉴스카페
  • email
  • face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