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기자
닫기
김재홍

(현장에서)건전한 리서치 문화, 당국 의지에 달렸다

2017-01-03 08:00

조회수 : 3,580

크게 작게
URL 프린트 페이스북
이달 2일 기준으로 국내 56개 증권사 애널리스트는 1116명으로 집계됐다. 2010년 1500명을 넘었던 것과 비교하면 현저하게 감소했다. 
 
애널리스트 숫자가 줄어든 원인은 간단하다. 증시 침체가 수년간 이어지면서 애널리스트가 소속된 증권사 리서치센터는 높은 비용이 들어가는 부서로 여겨졌고 ‘구조조정 1순위’로 지목됐기 때문이다. 
 
그런데 요즘은 구조조정 외에 자발적으로 떠나는 경우도 늘고 있다. 살인적인 업무환경에 비해 연봉수준은 과거와 비슷하거나 심지어 삭감됐다. 반도체 분야 애널리스트의 연봉은 한때 7억원에 육박했지만 현재는 3억~4억원 수준, 또는 그 이하라는 게 업계 중론이다. 
 
게다가 기업분석이라는 본연의 업무 외에 ‘을’의 입장에 선다는 점도 애널리스트들이 업계를 떠나는 원인이 되고 있다. 
 
담당 기업에 부정적인 내용을 기술하거나 투자의견 또는 목표주가를 하향할 경우 당장 ‘앞으로 일체의 자료제공이나 탐방기회를 중단하겠다’는 위협을 받기도 한다.
 
이 과정에서 해당 기업이 애널리스트가 소속된 증권사와 거래를 끊는 일이라도 발생한다면 보고서 내용이 사실이어도 애널리스트의 책임으로 귀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금융당국이 수년간 ‘건전한 증권사 리서치센터 문화를 만들겠다’는 방침을 밝혔지만 큰 진전이 없는 건 위에 언급한 근본적인 이유가 해결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지난 1년간 4938개의 투자의견 중 매도 의견은 11건으로 0.22%에 불과했다. 최근 3개월 기준으로는 0.16%까지 낮아진다. 
 
당국도 이를 모르는 게 아니다. 금융감독원이 2일 발표한 ‘리서치 관행의 실질적 개선을 위한 방안’을 보면 애널리스트의 보수산정 기준은 보고서 수준 자체에 대한 평가보다 법인영업 등의 기여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평가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애널리스트의 독립성 강화는 매우 중요하다. 그렇지 않으면 결국 투자자 피해로 귀결되고 증권업 전반에 대한 불신이 커지기 때문이다. 당국에서도 증권사와 상장사 간 갈등 해결을 위해 신고센터를 설치하고 여기에 접수된 사례는 직권으로 조정에 나서기로 했다. 애널리스트 보수산정 기준도 업무 외적으로 평가받지 않도록 개선할 방침이다. 
 
리서치센터 문화를 개선하기 위한 첫 걸음이 이루어졌다. 업계 관행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해서는 한두번의 일시적 처방으로는 불가능하다. 당국의 노력이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지 시장과 투자자들은 지켜보고 있다. 
 
김재홍 증권부 기자
  • 김재홍

  • 뉴스카페
  • ema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