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기자
닫기
이우찬

서울시, 내년까지 푸드트럭 800대로 늘린다

서울밤도깨비야시장도 8곳으로 확대…수요 공간 확대

2017-05-22 15:13

조회수 : 3,567

크게 작게
URL 프린트 페이스북
[뉴스토마토 이우찬 기자] 서울시가 현재 225대(야시장 162, 일반 20, 축제행사 43) 운영 중인 푸드트럭을 올 연말까지 537대까지 확대한다. 또 내년 말까지 800대 이상으로 늘리고 영업공간 확대와 축제행사 참여도 지원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푸드트럭 활성화 방안을 22일 발표했다. 우선 시민과 관광객들에게 다양한 볼거리, 먹거리, 살거리를 제공하고 있는 서울밤도깨비야시장을 내년까지 총 8곳으로 확대한다. 서울밤도깨비야시장은 푸드트럭, 핸드메이드 판매와 함께 다양한 문화프로그램을 제공해 시민과 관광객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지난해 누적 방문객 수 331만명을 기록했고, 외국인이 뽑은 인상 깊은 시 정책 1위에 선정됐다. 726명에게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기도 했다.
 
올해 야시장에선 청계천 보행전용거리 포함 5곳에서 푸드트럭 총 162대를 영업 중이다. 하반기까지 1곳을 더 늘리고자 한강공원 등 대규모 공간을 물색하고 있다. 또 내년에는 2곳을 추가 발굴해 총 야시장 8곳에서 푸드트럭 252대를 안정적으로 영업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시는 문화비축기지, 서울식물원 등 신규 개장시설을 중심으로 푸드트럭 영업공간을 확보해 합법 영업공간이 부족한 푸드트럭 상인들의 판로 문제를 해소할 방침이다. 우선 서울과학관(5월), 문화비축기지(6월), 서울창업허브(6월), 새활용플라자(9월), 서울식물원(내년 5월) 등 서울시 신규 개장 대규모 시설 및 공간을 중심으로 푸드트럭 합법 영업공간을 확보할 예정이다.
 
서울애니메이션센터, 기술교육원, 남산공원 등 기존 상권과의 충돌이 적으면서 최소한의 매출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는 시설에 대해서는 상권 분석과 상인과의 소통을 거쳐 메뉴, 가격, 운영시간대를 포함한 적정 운영모델을 만들 계획이다.
 
시는 푸드트럭의 구조안전성, 위생, 맛 등 전문가 심사를 거쳐 서울 푸드트럭 풀(POOL)을 구성하고 시는 물론 산하기관, 자치구에서 개최하는 대규모 축제·행사에 참여해 영업할 수 있도록 추천하는 제도를 운영한다. 시에서 주최하는 축제·행사에는 푸드트럭 존 운영을 의무화하고 자치구 브랜드 축제, 대표축제와 같이 시에서 지원하는 대규모 축제에도 푸드트럭이 참여할 수 있도록 개선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기존에 영업허가를 얻지 못해 불안한 노점영업을 하고 있는 푸드트럭 상인들은 합법적인 영업기회를 얻게 된다.
 
현재까지 도시농업박람회 등 7개 행사에 43대가 영업기회를 얻었다. 하반기에는 한강몽땅 여름축제(7월, 114대), 서울문화의 밤(8월, 8대), 서울거리예술축제(10월, 10대), 서울김장문화제(11월, 8대) 등 지속적으로 대상축제를 발굴하고, 참가방안을 지원할 예정이다.
 
시는 푸드트럭 시장 활성화를 위해 내달부터 푸드트럭 상인, 상권분석 전문가가 참여하는 민관합동 실사단을 운영할 계획이다. 민관합동 실사단의 역할은 매출부진에 따른 푸드트럭 폐업을 막고자 신규 영업 후보공간에 대한 적정성 여부를 자문하고 공간별 메뉴유형, 가격 및 운영시간대 등을 제안한다.
 
기존에 허가를 받아 영업 중인 공간도 영업지의 적합성 여부를 자문받아 장소가 부적합할 경우 영업을 중단하고, 푸드트럭 영업전략의 문제일 경우 서울신용보증재단 자영업지원센터의 전문컨설팅을 거쳐 역량을 높일 계획이다.
 
주용태 서울시 경제기획관은 “규제개혁 차원의 푸드트럭 합법화가 청년들의 기대 섞인 푸드트럭 창업으로 연결되긴 했으나, 그에 뒤따라야 할 영업공간 제공은 미흡했던 것이 사실”이라면서 “서울밤도깨비야시장 확대, 신규 합법 영업공간 발굴 등을 통해 청년, 취약계층의 일자리 창출과 새로운 먹거리 문화 조성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실현하겠다”고 말했다.
 
지난해 7월15일 오후 서울 양천구 목동운동장 인근에서 '서울밤도깨비야시장 목동운동장'이 열리고 있다. 사진/뉴시스
 
이우찬 기자 iamrainshine@etomato.com
 
  • 이우찬

  • 뉴스카페
  • ema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