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기자
닫기
권준상

채권시장, 여전히 약세압력 우세

트럼프 탄핵이슈에 금리하락…"약세재료 더 많아"

2017-05-23 16:02

조회수 : 1,205

크게 작게
URL 프린트 페이스북
[뉴스토마토 권준상 기자] 최근 채권시장이 미국발 정치불확실성으로 강세를 보였지만 여전히 약세 압력이 우세하다는데 무게가 쏠리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탄핵 가능성이란 미국발 정치불확실성과 북한의 군사적 도발 등 지정학적 리스크로 안전자산 선호심리가 부각되며 최근 채권금리 하락을 보였지만, 신정부의 확장재정정책과 6월 미국 금리인상 가능성, 코스피가 사상 최고가를 경신하는 흐름이 이어지는 등 약세재료가 여전히 우세하기 때문이다.
 
23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지난주 채권금리는 미국 정치적 불확실성 부각에 따른 미국채 금리하락 등 대내외 안전자산 선호강화로 하락 마감했다. 국고채3년물 금리는 1.671%로 전주 대비 3.9bp(1bp=0.01%포인트) 하락했다. 5년물도 1.875%로 6.0bp 빠졌고, 10년물은 2.238%로 5.1bp 하락했다. 20년물과 30년물의 경우 각각 2.369%, 2.401%로 4.2bp, 4.6bp씩 하락했다.
 
하지만 강세로의 되돌림 가능성은 낮다는 게 전문가들의 판단이다. 최근 트럼프 탄핵이슈 등에 따른 안전자산 선호 현상이 금리 하락을 지지하고 있지만, 6월 미국 금리인상 가능성과 경기 부양을 위한 정부의 추가적인 국채발행 우려로 인한 금리 상승요인이 더 크게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 코스피가 경기부양 기대감에 오름세를 그리며 2311.74포인트로 사상최고치를 경신하는 등 연일 최고치를 갈아치우는 점 역시 부담 요인이다.
 
유승민 삼성증권 연구원은 “트럼프 탄핵 이슈는 관련 의혹들에 대한 정확하고 신뢰할 만한 조사 결과가 나오기 까지는 향후 최소 수 개월 이상 소요될 전망”이라며 “지난 1974년 워터게이트 사건 때의 닉슨과 같이 트럼프 본인이 사임하지 않는 한 특검의 공식 조사결과가 발표될 때까지는 탄핵이 현실화될 가능성은 높지 않은 상황”이라고 짚었다.
 
현재 채권시장에 가장 큰 약세압력을 이끄는 요인은 신정부의 정책 경계감(경기부양)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10조원 규모의 일자리 추가경정예산 편성을 공약으로 내세웠던 만큼 이를 포함한 확장재정정책이 채권금리상승을 불러올 요인으로 꼽히고 있는 상황이다.
 
오는 25일 열릴 금융통화위원회 역시 신정부의 재정지출 확대정책을 지원하며 공조하는 중립적인 입장을 견지할 분위기다. 김진평 삼성선물 연구원은 “4월 한국은행 경제전망의 상향조정에 반영됐듯이 금통위의 경기인식은 긍정적이며 수출 호조, 내수심리 회복이 지속되고 있는 만큼 금통위의 경기 인식은 변하지 않을 것”이라며 “신정부의 추경 편성 등 재정지출 확대 공약을 고려해 금리인하 가능성을 내비치지 않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6월 미국의 금리인상 가능성도 또 다른 요인이다. 이미선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최근 반등하는 미국 경제지표를 감안할 때 6월 FOMC에서 연준이 금리인상 경로를 수정할 가능성은 낮다”고 말했다. 미국의 4월 산업생산 전월 대비 1.0% 증가해 3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다. 앞서 미국 경제는 1분기 성장률이 전년 동기 대비 0.7%에 그쳤지만, 연준은 이를 일시적이라고 판단한 바 있다. 올해 FOMC 투표권이 있는 로버트 카플란 댈러스 연은 총재는 “경제와 물가 전망에 대해 우려하지 않는다”며 “올해 2회의 추가 기준금리 인상이 단행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힌 바 있다.
 
백윤민 교보증권 연구원은 “트럼프 대통령의 정치불확실성이 확대되면서 안전자산 선호심리가 일시적으로 부각되는 모습을 보였지만, 당분간 채권금리 강세 재료는 부재하다”며 “미국 연준의 6월 기준금리 인상 기대감, 한국 신정부의 정책 경계감 등이 이어질 것”이라고 짚었다.
 
최근 채권시장이 미국발 정치불확실성으로 강세를 보였지만 여전히 약세 압력이 우세하다는데 무게가 쏠리고 있다. 사진/뉴시스
   
권준상 기자 kwanjjun@etomato.com
  • 권준상

  • 뉴스카페
  • ema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