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기자
닫기
최병호

choibh@etomato.com

최병호 기자입니다.
(미래를 추적하는 빅데이터)"수집과 관리가 양대 축…거버넌스는 필수"

"한국, 데이터 수집에만 집중"…"데이터의 부작용은 사회 혼란 낳아"

2017-09-21 06:00

조회수 : 17,266

크게 작게
URL 프린트 페이스북
[뉴스토마토 최병호 기자] 데이터가 곧 돈이다. 미국을 비롯해 이미 각 국의 글로벌 기업들이 빅데이터 경쟁에 뛰어들었다. 정부에 축적된 데이터는 민간과 결합해 경쟁력의 척도가 됐다. 한국도 뒤늦게나마 추격에 나섰다. 4차 산업혁명의 주도권 다툼이 격화된 가운데, 전문가들은 데이터의 홍수 속에서 물길을 트는 것이 관건이라고 입을 모은다.
 
임용재 한국연구재단 정보·융합기술 단장은 ▲활용 가능한 양질의 데이터 확보 ▲빅데이터 산업 활성화를 위한 플랫폼의 뒷받침 ▲전문인력 양성 등을 빅데이터 경쟁력 강화 요건으로 꼽았다. 임 단장은 "빅데이터 같은 글로벌 메가트렌드는 전세계 시장의 패러다임을 변화시키기 때문에 트렌드를 쫓아 시장에 빨리 적응하려고 급급할 수 있다"면서 "완성도 없는 기술과 수요 없는 서비스로 빅데이터 시장을 추종하려는 것은 거품일 뿐, 안정적 성장에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빅데이터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양질의 데이터 수집과 품질 관리, 양 날개가 맞아떨어져야 한다. 빅데이터 전문가로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부정보화사업 전문위원으로도 활동하고 있는 조완섭 충북대 경영정보학과 교수는 "빅데이터는 단순히 '빅'(큰)한 데이터를 모으는 데 그치는 게 아니라 데이터에 대한 체계적 관리(데이터 거버넌스)가 필수"라고 강조했다.
 
데이터 거버넌스란 데이터 관리 정책과 지침·표준·전략·방향을 수립하고 데이터 관리 조직과 서비스를 구축하는 체계로 정의된다. 데이터 양은 폭증하는데 관리가 소홀하면 비용이 늘고 데이터 유출 위험을 초래한다. 품질이 낮은 데이터를 사용, 잘못된 정책 수립으로 사회 혼선이 빚어질 수도 있다. 특히 개인 프라이버시에 대한 데이터가 잘못 활용될 경우 '빅브라더(정보의 독점으로 사회를 통제)'가 현실화된다.
 
조 교수는 "국내에서는 빅데이터 수집과 돈 버는 데만 관심"이라며 "이를 관리하고 데이터 오류에 대한 리스크를 줄이는 거버넌스에 대해서는 정작 무관심하다"고 꼬집었다. 빅데이터 거버넌스에 대한 정부 관료들의 이해도도 낮다. 이런 상태에서는 정부의 정보통신 시범사업 등에 쏟아 붓는 예산이 헛돈이 된다.
 
 
'빅데이터 거버넌스' 구조를 보여주는 프레임워크. 큐브 전면의 각 셀은 산업유형(Y축)에 따른 빅데이터(X축) 유형별 서비스 형태를 보여준다. 이를테면 헬스케어 산업에서 생체정보 빅데이터는 유전자검사 서비스로 구현되는 셈이다. Z축은 이들 정보에 대한 거버넌스 요소를 보여준다. 사진 제공/조완섭 충북대 경영정보학과 교수
 
'2020년까지 빅데이터 기술 선진화'를 목표로 내건 중국의 사례는 시사점이 크다. 지난해 중국 국가개혁발전위원회는 "2020년 중국이 세계 데이터의 중심이 될 것"이라고 천명하고 2016~2020년 5개년 계획을 수립, 빅데이터를 국가 집중 육성대상으로 지정했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와 중국 푸단대 중국경제학회에 따르면, 중국은 빅데이터 표준화 강화와 시장 육성 및 서비스 능력 향상은 물론 건전한 기준·규범 수립, 평가 시스템 구축도 진행 중이다. 중국 공산당의 지원 아래 알리바바와 바이두, 텐센트 등은 여행·보험·학습 등에 관한 빅데이터 서비스를 속속 선보이고 있다.
 
코트라 베이징무역관에서 현지시장 조사를 담당하는 김성애씨는 "중국의 빅데이터 산업에서 당장 괄목할 성과가 나타났다고 말하기는 이르다"면서도 "당과 지방정부의 장기적 지원과 기업들의 집중적 투자 아래 빅데이터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고 빅데이터 클러스터 계획도 나오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과거 '중국' 하면 떠오르던 주먹구구식이 아니라 첨단산업을 체계적으로 시스템화하려는 경향도 나타난다"고 평가했다.
 
최병호 기자 choibh@etomato.com
  • 최병호

최병호 기자입니다.

  • 뉴스카페
  • email
  • face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