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김재홍 기자] 세계 주요 자동차 시장 판매량은 2년 연속 감소세를 보였으며, 감소폭도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는 주요 7개 시장(미국, EU, 중국, 인도, 멕시코, 브라질, 러시아)의 승용차 판매실적과 자동차산업 정책을 분석한 ‘2019년 해외 주요 자동차시장 및 정책 동향’ 보고서를 20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 주요 시장의 승용차 판매는 6203만대로 전년 대비 4.2% 감소했다. 감소폭도 2018년 0.8%에서 2019년 4.2%로 3.4%포인트 증가했다. 인도, 중국 등 신흥 시장의 시장 규모가 축소한 것이 판매 감소의 원인으로 분석된다. 반면, EU는 1.2% 증가하면서 6년연속 상승세를 보였다. 미국은 1.4% 감소했지만 여전히 1700만대에 육박하는 시장규모를 유지했다.
글로벌 자동차 시장이 2년연속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뉴시스
브랜드 국적별로는 유럽, 일본, 한국 브랜드는 상대적으로 선전했고 미국과 중국 브랜드는 부진했다. 시장점유율을 살펴보면 유럽 브랜드는 2018년 31.0%에서 32.6%로 상승했다. 일본 브랜드는 25.3%에서 25.6%, 한국 브랜드는 7.4%에서 7.6%로 올랐다. 미국 브랜드는 19.1%에서 18.7%, 중국 브랜드는 15.1%에서 13.3%로 하락했다.
자동차산업협회 관계자는 “중국 브랜드는 중국 시장의 부진이 하락 요인으로 작용했다”면서 “한국 브랜드는 미국, EU, 인도 시장 특성에 맞는 모델 투입이 주효한 것으로 분석된다”고 설명했다.
정만기 자동차산업협회 회장은 “지난해 한국 브랜드는 세계시장에서 상대적으로 선전했으나, 자동차시장 환경의 급변과 중국의 추격을 고려하면 향후 기업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정책적 뒷받침이 절실하다”면서 “특히, 단기적으로는 코로나19로 인한 조업차질 만회를 위해 충분한 특별연장근로 허용과 노조의 적극적 협조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재홍 기자 maroniever@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