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염재인 기자] 서울 종로구 인사동에서 훈민정음 창제 당시 표기가 반영된 최초 한글 금속활자를 비롯해 15~16세기에 제작된 천문시계 부품, 조선시대 화포인 총통, 동종 등 금속유물들이 무더기로 출토됐다.
문화재청과 매장문화재 조사기관인 수도문물연구원은 29일 고궁박물관에서 '서울 공평구역 제15⋅16지구 도시환경정비사업부지 내 유적(나 지역)'에서 출토된 조선 전기에 제작된 금속유물을 공개했다.
29일 오후 서울 종로구 인사동 72번지 공평구역 도시환경정비사업부지에서 문화재청, 수도문물연구원 등 관계자들이 유적 발굴조사를 하고 있다. 이 지역에서 훈민정음 창제 당시 표기가 반영된 최초 한글 금속활자를 비롯, 조선전기 금속활자 1600여점 등이 무더기로 출토됐다. 사진/뉴시스
금속활자 1600여점, 세종~중종 때 제작된 물시계의 주전(籌箭), 세종 때 만들어진 것으로 보이는 천문시계인 일성정시의(日星定時儀) 1점, 중종~선조 때 만들어진 총통(銃筒)류 8점, 동종(銅鐘) 1점 등이다.
조사 지역은 현재 서울 종로구 인사동 79번지로 종로2가 사거리 북서쪽이다. 이 지역은 과거 조선 한양도성 중심부였다. 이곳은 조선 전기까지 한성부 중부 견평방에 속하며 주변에 관청인 의금부와 전의감을 비롯해 왕실의 궁가인 순화궁 죽동궁 등이 위치했고, 남쪽으로는 상업시설인 시전행랑이 있었던 운종가가 있던 곳이다.
금속활자 등이 출토된 층위는 현재 지표면으로부터 3미터(m) 아래인 6층(16세기 중심)에 해당된다. 각종 건물지 유구를 비롯해 조선 전기로 추정되는 자기 조각과 기와 조각 등도 같이 확인됐다.
이번에 공개된 유물들은 금속활자들을 제외한 나머지는 잘게 잘라 파편으로 만들어 도기항아리 안과 옆에 묻어둔 것으로 추정된다.
29일 서울 종로구 국립고궁박물관 강당에서 서울 공평동 유적에서 출토된 금속활자 등 유물이 공개되고 있다. 사진/뉴시스
활자들은 대체로 온전했지만 불에 녹아 서로 엉겨 붙은 것들도 일부 확인됐다. 이들의 사용 및 폐기 시점은 제작연대를 알 수 있는 유물 중 만력(萬曆) 무자(戊子)년에 제작된 소승자총(1588년)이 있어 1588년 이후에 묻혔다가 다시 활용되지 못하고 오늘날까지 이어진 것으로 예상된다.
오경택 수도문물연구원장은 "이번 유물들은 창고로 추정되는 곳에서 출토됐다"며 "금 간 도기 안에 금속활자와 물시계의 주전이 같이 발견됐고 동종과 총통은 도기 내부에서 출토됐다"고 설명했다.
이번에 공개된 금속활자 중 가장 눈길을 끄는 것은 훈민정음 창제 당시 표기가 반영된 가장 이른 시기의 한글 금속활자다. 이번에 출토된 금속활자들은 조선 전기 다종·다양한 활자가 한 곳에서 출토된 첫 발굴사례로 그 의미가 크다.
특히 훈민정음 창제 시기인 15세기에 한정되어 사용되던 동국정운식 표기법을 쓴 금속활자가 실물로 확인된 점, 한글 금속활자를 구성하던 다양한 크기의 활자가 모두 출토된 점 등이 최초 사례다.
도기항아리에서는 금속활자와 함께 세종~중종 때 제작된 자동 물시계의 주전으로 보이는 동제품들이 잘게 잘려진 상태로 출토됐다.
활자가 담겼던 항아리 옆에서는 주·야간의 천문시계인 일성정시의가 출토됐다. '세종실록'에 따르면 1437년(세종 19년) 세종은 일성정시의 4개를 만든 것으로 기록됐다. 현존하는 자료 없이 기록으로만 전해져오던 세종대의 과학기술의 그 실체를 확인한 것으로 의미가 크다.
출토 유물들은 현재 1차 정리만 마친 상태다. 문화재청은 "이 유물들을 국립고궁박물관으로 이관해 안전하게 보관하고 있다"며 "앞으로 보존처리와 분석과정을 거쳐 각 분야별 연구가 진행된다면 이를 통해 조선 시대 전기, 더 나아가 세종 연간의 과학기술에 대해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서울 인사동 유적 유물 출토 모습. 사진/문화재청
염재인 기자 yji@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