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G가 세계 최초로 상용화된지 4년째에 접어들었지만 LTE 우선모드를 사용하는 이용자들이 여전히 많다. 사용자들이 5G 우선모드를 제외하는 이유는 여러가지다. 수도권 기준으로 볼 때 5G 실외 기지국은 구축돼 있지만 실내로 들어오면 LTE로 전환되는 데다, 5G 우선모드 시 배터리가 빨리 소진되는 불편이 있다. 사용자들이 주로 이용하는 서비스가 LTE 속도로도 충분히 감당되는 것도 LTE 우선모드를 고집하게 하는 한 요인이다. 지방 이용자들의 경우엔 5G가 잘 안 터지기 때문에 선택의 여지 없이 LTE 우선모드를 쓰고 있다. 이유는 제각각이지만, 불완전한 5G 서비스로 인해 실제 생활은 5G와 거리가 먼 상황이다. 하지만 최신 플래그십 제품의 경우 5G폰으로만 출시되고 있어 5G폰 이용자들은 서비스 품질과 상관 없이 5G 요금을 내고 있는 실정이다. 반면 미국, 영국, 프랑스 등 해외시장에서는 5G의 과도기적 성격을 감안, LTE와 5G 요금을 분리하지 않는 정책을 펼치고 있다. 4년차에 접어든 국내 5G 시장 현황에 대해 살펴보고, 해외와 비교해 개선돼야 할 지점은 무엇인지 살펴본다. (편집자주)
[뉴스토마토 이지은 기자] 7월 기준 국내 5G 가입자는 2513만2888명을 기록했다. 상용화 첫해 466만8154명을 기록한 이후 가입자가 5.4배 늘어났다. 회선 수로는 전체 이동통신 가입 회선의 33%를, 트래픽 비중으로는 72.4%를 차지하며 시장에서 영향력을 키우고 있다. 다만 5G 이용자가 느는 것과 달리 서비스 만족도는 반비례하고 있다. 지난 6월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발표한 '최근 국내 이동통신서비스 이용행태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LTE 또는 5G 이용자 2000여명에게 설문조사를 한 결과 5G 서비스에 관한 전반족 만족도는 전년 대비 7%포인트 줄어든 23%로 나타났다. 기지국 부족으로 실제 속도가 빠르지 않고, 비싼 요금이 불만족 요인으로 지목됐다.
SK텔레콤(017670)·
KT(030200)·
LG유플러스(032640) 등 국내 이동통신3사의 5G 기지국 수가 매해 늘어나고 있지만, 서울을 비롯해 부산, 대구, 대전 등 전국 6대 도시에 집중돼 있다. 이통통신3사의 커버리지맵을 보면 수도권과 광역시를 중심으로는 붉은색 점이 수놓아졌지만, 지방 소도시나 농어촌 지역은 5G 기지국이 설치가 안 된 곳들이 많다. 전국망으로 역할을 하고 있는 LTE 커버리지맵이 몇 개의 점을 제외하고 붉게 물들어 있는 것과 대조된다. 정부 5G 이동통신 커버리지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준공검사를 완료한 3.5㎓ 무선국은 19만8832국이다. 지난 6월 기준 이동통신사별로 약 7만개 이상 무선국이 구축됐다. 이달 25일 기준 KT가 게재한 커버리지현황에 따르면 무선국 신고 수는 9만8594국이다.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의 무선국 신고 수가 공지되지 않았지만, 3개월가량이 지난 만큼 무선국 수는 비슷한 비율로 늘어났을 것으로 전망된다. 5G 망은 지속해서 늘어나고 있지만, 여전히 인빌딩 커버리지가 실외 대비 더딘 까닭에 집 안으로 들어오면 LTE만 터지는 경우가 많다. 통신업계에서는 LTE 실내 서비스가 원활하게 제공됐던 시점을 2017년 각 이통사가 평균 15만국을 구축했을 때로 추정하고 있다. 현재 대비 50%가량 무선국이 늘어야 하는 것이다.
9월26일 기준 이통3사 5G 커버리지맵. 왼쪽부터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맵 현황. (사진=각사 홈페이지)
특히 농어촌지역은 무선국이 더 빠르게 늘 필요가 있다. 국회 과학방송통신방송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김영식 의원실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준공완료 5G 무선국 가운데 45.5%인 9만489국이 수도권에 집중적으로 설치됐으며, 수도권과 6대 광역시로 확대하면 비율이 68.2%까지 상승했다. 이통3사는 131개 시·군에 소재한 읍·면 지역을 대상으로 5G 공동망 구축에 나서고 있지만, 계획대로라면 내년 말이 돼야 구축이 완료된다.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약 15%가 거주하고 있는 131개 시·군에 소재한 읍·면 지역의 경우 내년 말 온전한 5G 서비스 이용이 가능한 셈이다.
문재인정부는 2022년까지 5G 전국망을 구축하겠다는 계획이었다. 지난해 1월26일 5G+전략 추진계획 발표 당시 5G 전국망을 2022년말까지 조기구축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하지만 5G 무선국이 수도권과 6대 광역시 위주로 구축되면서 올해로 예정된 전국망 구축은 공염불이 됐다. 현 정부는 전국 농어촌 지역 5G 전국망을 2023년 12월말까지 완성하겠다는 목표로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이에 따라 현재의 5G 이용자들은 내년말쯤에야 온전한 서비스 이용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일각에서는 LTE와 같은 전국망 구축을 위해 무선국이 3~5배 더 설치돼야 하는 5G 통신망의 특성을 반영하지 않은 채 5G 최초 상용화에 급급한 결과 5G 불완전 판매가 지속되고 있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불완전 판매로 수도권 이용자들은 실외 중심의 5G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지만 농어촌 지역에서는 5G 이용이 불가한 이용자 차별도 낳았다. 업계 관계자는 "무리한 정책 목표 달성을 위해 이용자 피해가 발생하게 됐다"면서 "5G 단말기에 대해서 LTE 서비스를 가입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적 보완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이지은 기자 jieunee@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