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게 크게 작게 작게 메일
페이스북 트윗터
공동점포 대세인데…농협은행 나홀로 전략 왜?
중앙회 계열 단위농협 1052개…타행과 점포제휴 유인 떨어져
입력 : 2022-10-20 오전 9:00:00
[뉴스토마토 이종용 기자] 시중은행들이 영업점포 통폐합의 대안으로 타 은행과의 공동점포 개설에 속도를 내고 있지만 NH농협은행은 이와 다른 점포운영 전략을 펼치고 눈길을 끈다. 
 
19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행 등 대형은행들이 점포 통폐합으로 인한 소비자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공동점포 개점에 뛰어들었지만, 농협은행은 다른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앞서 지난 4월 하나은행과 우리은행이 은행권 최초로 공동점포를 개설했고, KB국민은행도 신한은행과 경기도 양주, 경상북도 영주 지역에 공동점포를 개점한 데 이어 BNK부산은행과 공동점포를 운영하고 있다.
 
농협은행 관계자는 "농협은행 설립의 근간이 되는 농협법 취지가 농민 지원"이라며 "은행법을 따르는 시중은행과 상황이 다르기 때문에 점포 운영 전략도 다를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농협은행 등 농협금융지주 자회들은 농협은행 중앙회에 농업지원사업비 명목으로 브랜드 사용료를 지급하고 있다. 이는 농가 지원·투자·복지 등에 사용된다.
 
실제로 시중은행들의 점포 통폐합 움직임이 갈수록 커지고 있는 반면, NH농협은행의 점포 수는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5대 시중은행의 지난 6월 말 기준 전국의 영업점포(지점·출장소) 수는 총 4180개다. 지난 1년 동안 312개의 영업점이 문을 닫았다. 4대 은행의 점포수가 평균 77개 줄어든 데 비해, NH농협은행은 1132개에서 1130개로 2개 점포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농협중앙회 계열의 단위농협이 전국 단위로 분포해 있어 농협은행으로서는 타행과의 공동점포 필요성이 떨어진다. 전국 단위농협 수는 지난 6월말 기준 1036개로 5년 전(1052개)에 비해 크게 줄지 않았다.
 
앞서 지난 11일 국정감사에서는 대형은행들의 무분별한 점포 폐쇄가 도마에 오른 바 있다. 비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점포 통폐합 속도가 빨라지면서 고령층 등 금융소외계층의 불편이 가중되고 있어서다.
 
은행들은 공동점포를 비롯한 편의점 복합점포, 고령층 특화 점포 등을 시범운영하는 방안을 대책으로 내놓았지만, 점포 폐쇄의 대안으로는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은행권 공동점포의 경우 단순 창구업무에 그치는 경우가 많아 일반 점포의 업무를 소화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국회입법조사처가 발표한 '은행권의 점포 축소와 금융소외계층 보호를 위한 과제' 보고서에서는 "현실적으로 은행들이 최소한의 인원만 배치하게 될 가능성이 높아 서비스 축소로 지점 운용의 실효성이 저해될 수 있다"고 지적한 바 있다.
 
서울 종로구 시중은행 현금자동입출금기(ATM) 모습. (사진=뉴시스)
 
이종용 기자 yong@etomato.com
 
이종용 기자
SNS 계정 : 메일 페이스북


- 경제전문 멀티미디어 뉴스통신 뉴스토마토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