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고은하 기자] 지난달 29일 발생한 이태원 참사는 현장에 있던 구급대원, 언론인, 생존자, 유가족, 전 국민에게 정신적·심리적 고통을 겪게 했다. 이태원 참사 외에도 수없이 발생하는 사건·사고로 현대인들은 트라우마에 노출될 위험이 크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발간한 한국 청장년의 트라우마 실태에 따르면 트라우마는 개인에게 신체적, 정서적으로 해롭거나 위협이 되는 단일 사건, 여러 사건, 혹은 일련의 상황으로 신체적, 사회적, 정서적 등 부정적 영향이 지속되는 것을 말한다.
트라우마를 극복하는 방안으로는 △천천히 숨쉬기 △나비 포옹 △일상유지 △회복탄력성 강화 등이 있다. 회복탄력성은 개인이 세상을 바라보는 방식, 외부의 자원을 활용할 수 있는가의 여부, 구체적인 전략을 갖추고 있는가에 따라 성공 여부가 결정된다.
쉽게 이야기하면, 공이 바닥에 떨어졌을 때 다시 튀어오르는 특질을 생각하면 쉽다. 공은 탄성을 가진 재질이기에 바닥에 닿았던 힘을 이용해 또 다시 위로 오를 수 있다.
조현주 한국임상심리학회장은 "우리의 마음도 탄탄한 자아와 상처로부터 회복할 수 있는 개인적 자원을 채워나가는 것이 필요하다"며 "사회적 자원과 공동체의 관심이 있다면 개인은 오래지 않아 상처로부터 회복하는 방법을 찾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우리 각자 안에는 모두 회복탄력성이라는 긍정의 힘이 내재돼 있다는게 조 회장의 설명이다. 그러나 너무나 압도적인 경험을 한 이후에는 그 힘이 잘 드러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전문가의 심리서비스를 비롯해 재난 생존자에게 꼭 필요한 도움이 제공돼야 한다.
조현주 회장은 "회복탄력성을 가진 건강한 사람들은 트라우마 경험 후 일시적인 급성기 스트레스 반응을 나타낼 수 있다"면서도 "대부분의 건강한 사람들은 시간이 지나면 이런 심리적 고통에서 빠르게 회복되는 모습을 보인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전에 우울증이나 불안했던 사람들 또는 회복탄력성이 낮은 사람들은 장기간 스트레스 반응을 가지고 갈 가능성이 높다. 이 때문에 이번 참사로 인해 세상에 대한 신뢰가 더 이상 무너지지 않도록 완충하는 역할, 다양한 심리지원서비스를 제공, 비슷한 경험을 한 이들이 서로 믿고 위로해 연대감을 형성하는 것등이 필요하다.
조 회장은 "개인의 회복탄력성을 강화하기 위해선 위기 상황에서 정부와 심리 전문가가 안전한 환경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반복적으로 위험에 노출되지 않도록 SNS에 무분별한 정보나 영상을 제작, 재생산, 게재하는 것을 자제하는 캠페인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그는 "심리 전문가들은 급성 스트레스 상태에 있는 재난 경험자가 만성화되지 않도록 적극적으로 심리지원에 동참해야한다"며 "다만 심리지원 시 전문적인 교육을 받은 사람들이 공식적인 체계, 보건복지부 통합심리지원단의 일관된 지원방식에 따라야한다"고 설명했다.
고은하 기자 eunha@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