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김유진 기자] 후쿠시마 오염수의 방류 우려가 커지면서 '수산물이력제'를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현행 수산물이력제에는 선박명·선박등록정보가 없는 만큼, 어디서 온 선박 수산물인지 알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20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에 따른 수산물이력제 관리방안' 논의에서 토론자들은 국내 수산물이력제 강화에 대해 입을 모았습니다.
수산물이력제란 생산부터 판매까지 유통단계별로 관리해 소비자가 수산물을 구입할 때 이력을 확인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수산물의 식품사고 시 이력정보를 활용해 수산물을 역추적하고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지난 2005년 넙치·김·다시마 등 30개 품목을 대상으로 시범사업이 시행된 바 있습니다.
이후 2016년 수산물이력제 의무화 근거가 마련되고 2019년부터 생굴, 굴비 품목에 수산물이력제 의무화 시범사업이 진행됐습니다.
20일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에 따른 수산물이력제 관리방안' 토론회가 개최됐습니다. 사진은 토론회에 참석한 참가자들이 기념촬영을 하는 모습.
현행 수산물이력제는 자율적으로 등록할 수 있습니다. 올 3월 기준 수산물이력제 참여 업체는 2328개로 굴비 등 41개 품목이 대상입니다.
강거영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 품질관리과장은 "수산물의 이력정보를 기록 및 관리해 소비자에게 투명하게 공개하는 수산물 이력추적제도의 필요성이 대두됐다"며 수산물이력제의 도입 배경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현행 수산물이력제에는 선박명과 선박등록정보(국적·항구·지자체) 등이 포함되지 않습니다. 때문에 수산물 안전 여부를 알아야 하는 소비자가 정작 어디서 온 선박의 수산물인지 구체적인 정보를 알지 못합니다.
이용기 환경운동연합 생태보전팀장은 "지난해 11월 일본산 멍게와 활참돔 등이 국내산으로 둔갑해 유통됐으며 올 1월과 2월에도 일본산 방어, 갈치 등이 국내산으로 이름을 탈바꿈해 소비자들의 식탁에 올랐다"며 국내 수산물이력제 강화의 필요성을 제안했습니다.
시민방사능감시센터와 환경운동연합의 일본산 식품 분석 보고서를 보면 2018년부터 2022년까지 5년간 방사성 물질 검출률이 1.83%에서 11.6%로 급증했습니다. 또 검출 건수도 2018년 3163건에서 4142건으로 늘었습니다.
정우진 환경정의재단 캠페이너는 "아이를 키우는 엄마 입장에서 식품 하나를 고를 때도 조심스럽다"며 "그런데 마트 등에서 판매되는 상품에는 '국내산' '수입산' 등 기초적인 정보밖에 적혀있지 않다. 소비자들이 수산물의 구체적 정보를 알 수 있도록 수산물이력제를 강화해야 한다"고 제언했습니다.
한편 일본 정부는 지난 2021년 4월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에서 나오는 방사성 물질을 포함한 오염수를 바다에 방류하겠다고 결정한 바 있습니다.
20일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에 따른 수산물이력제 관리방안' 토론회가 개최됐습니다. 사진은 수산물 원산지 특별단속 모습. (사진=뉴시스)
김유진 기자 yu@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