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에 사는 청년 2명 중 1명이 ‘빈곤’ 상태에 놓여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혼자 사는 청년의 빈곤율은 60%를 넘었습니다.
서울시와 서울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2022년 서울청년패널 기초분석’에서 19∼36세 서울 거주 청년 508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 결과입니다. 이 조사에 따르면 서울에 거주하는 청년의 자산 빈곤율은 55.6%였습니다.
자산 빈곤 상태란 자산 규모가 균등화 가처분소득 중위소득 50%(2021년 기준 월 소득 132만2500원)의 3개월치 미만, 즉 자산이 396만7500원 미만인 경우를 의미합니다.
청년 1인 가구의 자산 빈곤율은 62.7%로, 전체 청년 자산 빈곤율보다 7.1%포인트 높게 나타났습니다. 서울에 거주하는 1인 가구 취약성이 드러난 결과로 볼 수 있습니다. 생활비 부족을 경험한 적이 있다고 답한 청년은 27.7%. 생활비가 부족했을 때 어떻게 해결했느냐는 질문에 41.2%는 부모 지원, 17.7%는 저축이나 예적금 해약을 통해 해결했다고 답했습니다.
서울 마포구 서부고용복지센터 내 창구에서 청년들이 상담을 받기 위해 대기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이 조사에서 부모와 동거하는 청년들의 예상 독립 나이는 평균 30.6세였습니다. 연령별 예상 독립 나이는 19∼24세는 27.4세, 25∼29세 30.8세, 30∼34세 35.3세 등으로 나이가 들수록 예상 독립 시기도 늘어나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청년 4명 중 1명(25.6%)은 일을 하지 않고 직업교육이나 훈련도 받지 않는 상태였습니다. 연령별로 보면 19∼24세가 33.6%로 가장 높았고, 25∼29세 26.1%, 30∼34세 20.0%, 35∼36세 18.5%로 나타났습니다.
생활 수준과 건강, 안전 등 13개 영역에 대한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는 10점 만점 중 평균 5.9점이었습니다. 만족도가 가장 높은 영역은 ‘가족관계와 나의 안전’(6.8점), 가장 낮은 영역은 ‘나의 경제적 수준’(4.7점)이었습니다.
이제 ‘노인 빈곤’ 못지않게 ‘청년 빈곤’도 사회적 고민이 필요할 때로 보입니다. 청년층을 대상으로 한 소액대출 사기도 늘고 있는 형편입니다. 청년 소득과 고용 지원을 정책적으로 뒷받침할 수 있는 제도 마련이 시급합니다.
안창현 사회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