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윤민영 기자] 저출생, 고령화 등으로 성장 한계에 부딪힌 생명보험업계가 요양사업 진출로 수익 다각화를 모색하고 있는데요. 그룹사나 지주사를 끼고 있는 대형 보험사와 달리 생존 걱정부터 하고 있는 중소형사들에게는 '언감생심'입니다. 요양시설 설립 관련 규제가 높은 상황에서 안정적으로 사업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막강한 자본력이 뒷받침돼야 하기 때문입니다.
3일 금융권에 따르면 현재 요양사업을 진행 중이거나 진출 채비에 나선 보험사는 KB라이프생명과 신한라이프생명, NH농협생명, 삼성생명 등입니다.
요양사업 '선두주자'로 꼽히는 KB라이프와 신한라이프는 각각 자회사인 'KB골든라이프케어'와 '신한라이프케어'를 통해 요양시설과 실버타운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NH농협생명, 삼성생명도 요양사업 진출을 위한 검토 단계에 있습니다.
노인인구 증가로 인구구조가 변화하면서 생명보험사의 주 먹거리가 줄어들고 요양보험 시장이 커지고 있는데, 요양보험 활용처와의 연결고리가 바로 요양산업입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내년에 1000만명 시대에 진입할 것으로 추측됩니다. 우리나라 인구 5명당 1명이 고령자인 겁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국내 실버산업 시장 규모가 2030년 168조원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습니다.
그러나 현재까지는 부지나 건축 문제 등 시간과 자본이 소요되는 사업 특성상 대기업 지주가 있는 곳 위주로 진출이 활발한 상황입니다.
한 대형 생명보험사 관계자는 "노인인구가 갈수록 많아지면서 생명보험업계가 새로운 수익을 고민한 결과가 요양보험"이라며 "요양보험 수요가 많아지면 활용처도 필요하기 때문에 보험사가 요양원 사업에 주목하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 예로 삼성생명이 신사업으로 꼽은 요양사업을 들 수 있습니다. 현재 삼성그룹 차원에서도 고급 실버타운 '노블카운티'를 운영 중인데요. 이는 삼성생명이 KB라이프·신한라이프에 비해 요양사업 후발주자임에도 불구하고 그룹사의 인프라를 활용해 성장할 수 있는 부분입니다.
이 때문에 중소업계일수록 유지 비용이 크고 인허가가 쉽지 않은 요양사업에 큰 투자를 하며 뛰어들기는 힘들다는 입장입니다. 현행 노인복지법 시행규칙에 따르면 요양시설 사업자가 30인 이상 요양시설을 설치하려면 토지·건물을 직접 소유하거나 공공 부지를 임차해야 합니다. 관련 인허가까지 최소 3년 이상의 세월이 소요되고 수백억원의 비용도 발생합니다.
보험업계가 요양산업 시장이 커질 것을 감지하고 있지만, 자칫 중소형사는 대형사의 독주를 바라만 볼 수 밖에 없는 부분입니다.
중소형 생명보험사 관계자는 "요양사업을 시작한 곳이 있지만 운영하는 데 적잖은 비용이 지출되다 보니 수익 자체는 크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다"며 "그렇기 때문에 부지 매입, 건축, 운영과 관리를 위한 위탁업체 선정까지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드는 사업이라 중소형 보험사 자체적으로 요양사업에 뛰어들기는 어렵다"고 설명했습니다.
지난해 9월26일 서울 중구 장충체육관에서 열린 서울시노인종합복지관협회 주최 2023 서울 시니어 스마트 페스타에서 참가 어르신들이 각종 시니어용 운동 기구를 체험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윤민영 기자 min0@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