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홍균 외교부 1차관과 쓘웨이둥 중국 외교부 부부장이 18일 서울 종로구 외교부에서 열린 한·중 외교안보대화에 앞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장바오췬 중국 중앙 군사위 국제군사협력판공실 부주임, 쑨웨이둥 중국 외교부 부부장, 김홍균 1차관, 이승범 국방부 국제정책관. (사진=뉴시스)
[뉴스토마토 한동인 기자] 한국과 중국 외교·국방 고위당국자들이 6시간 넘는 시간 회의 끝에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방북에 시각차를 드러냈습니다. 한국은 푸틴 대통령의 방북에 강력한 우려를 표한 반면 중국은 "북·러 간 교류가 역내 평화와 안정에 기여하기를 바란다"고 밝혔습니다.
19일 외교부에 따르면 김홍균 제1차관과 중국의 쑨웨이둥 외교부 부부장(차관)은 지난 18일 서울에서 개최한 '한·중 외교안보대화'를 통해 양자 관계와 한반도 문제 등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한·중 외교안보대화'는 양국 외교부와 국방부가 참여하는 '2+2' 차관급 대화 협의체입니다.
푸틴 대통령의 방북이 예정된 상황에서 진행된 '한·중 외교안보대화'인만큼 관련 논의가 이어졌는데요. 우리 측은 최근 북한이 탄도미사일 발사와 오물 풍선 살포 등의 도발로 한반도 긴장을 고조시키는 가운데 푸틴 대통령의 방북이 이뤄지는데 깊은 우려를 표명했습니다.
그러면서 푸틴 대통령의 방북이 한반도 평화와 안정을 저해하고 북·러 간 불법적 군사협력의 강화로 이어져서는 안 된다는 입장을 분명히했습니다.
이어 북·러 간 군사협력에 따른 한반도 긴장은 중국에도 반하기 때문에 중국 측에도 한반도 평화·안정을 위해 건설적 역할을 해달라고 촉구했습니다.
이에 중국 측은 "중국의 대 한반도 정책에 변함이 없다"며 "한반도 문제 해결을 위해 건설적 역할을 하겠다"고 답했습니다.
하지만 푸틴 대통령의 방북에 대해서는 "북·러 간 교류가 역내 평화와 안정에 기여하기를 바란다"고 했습니다. 린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이 지난 13일 "원칙적으로 중국은 러시아와 관련 국가(북한)가 전통적인 우호관계를 발전시키는 걸 환영한다"고 밝힌 것의 연장선으로 보입니다.
우리 정부는 중국에 탈북민 강제 북송에 대한 국내·외 우려를 전달하고 중국 정부의 각별한 협조 요청을 했지만, 중국 측 입장은 공개하지 않았습니다.
한편 6시간이 넘게 마주 앉아 양국 관계 발전에 대한 논의를 이어 간 양국은 '2+2' 형태의 한·중 외교안보대화를 정례화하기로 했습니다.
한동인 기자 bbhan@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