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김원정기자] 지상파 아날로그방송이 지난달 31일 새벽 4시를 기해 전면 중단됐다.
이로써 지난 1997년 시작한 지상파 디지털 전환 사업이 15년 만에 매듭을 짓게 됐다.
지상파방송의 디지털 전환으로 시청자는 1차적으로 고화질, 고음질 방송을 즐길 수 있게 된다.
이에 더해 앞으로는 다채널 양방향서비스도 가능해질 전망이다.
방송통신위원회(위원장 이계철, 이하 방통위)가 밝힌 국내 디지털 전환율은 99.7%다.
이만하면 미국, 프랑스 등 여타 선진국에 견줘 성공적으로 디지털 전환을 이뤘다는 게 방통위 설명이다.
하지만 이는 유료방송 가입가구를 포함시킨 수치로, 케이블방송 가입가구 중에는 지상파를 여전히 아날로그방송으로 봐야 하는 시청자가 적지 않다.
실질적 디지털 시대를 맞기 위해 지상파방송은 지상파방송대로, 유료방송은 유료방송대로 남은 과제가 산적해있다는 지적이다.
◇블랙아웃 5만 가구..'당장 어떡하나'
방통위 추산으로 디지털 미전환 가구는 현재 5만 가구 수준이다.
이들은 지상파방송을 직접 수신하면서 디지털TV나 디지털컨버터를 미처 준비하지 못한 가구로, 지상파 아날로그방송이 종료되면서 고스란히 TV가 먹통이 되는 ‘블랙아웃’을 겪고 있다.
방통위는 디지털 미전환 가구를 위해 오는 3월까지 정부 지원 신청 기간을 연장했다.
채널 재설정도 남은 과제다.
디지털 수신기를 갖춰놓은 가구라도 TV리모콘 버튼을 눌러 ‘채널 재설정’을 완료하지 않으면 일시적으로 TV를 못 보는 ‘블랙아웃’을 겪을 수 있다.
방통위는 이를 막기 위해 최근 ‘채널 재설정’ 홍보에 적극 나서겠다는 방침을 밝힌 바 있다.
디지털 전환 홍보에 최선을 다했다는 방통위 설명과 달리, 현장에선 다양한 이유로 디지털 혜택에서 누락되는 경우가 발생하곤 한다.
실제 제주 등 디지털 전환 시범지역의 경우 지상파방송이 제대로 나오지 않으면 급한 대로 유료방송에 가입하는 사례가 적지 않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때문에 시민단체에서는 전수조사를 대안으로 요구하고 있다.
방통위가 지상파 아날로그방송을 ‘스위치 오프’ 하는 데만 집중할 게 아니라, 종료 이후 지상파 디지털 전환이 제대로 이뤄졌는지 꼼꼼히 확인하는 작업에 나서는 게 보다 중요하다는 주장이다.
◇아날로그TV 보유 케이블 가입자, 그대로 아날로그 시청
이번 디지털 전환은 엄밀히 말해 지상파방송에 국한된 것이다.
지상파방송을 직접 수신하는 가구는 전체 TV 수신가구의 10% 안팎에 그치기 때문에 유료방송을 이용하는 나머지 90% 가구는 디지털 전환 정책에서 배제돼 왔다.
특히 문제가 되는 것은 ‘케이블방송의 아날로그상품에 가입한 아날로그TV 보유 가구’로 이들은 디지털 전환과 무관하게 계속해서 아날로그방송을 보게 된다.
디지털 전환 정책이 ‘반쪽짜리’라는 지적에서 자유롭지 않은 이유다.
방통위는 이같은 지적을 수용해 올해부터 유료방송의 디지털 전환에 적극 나선다는 방침을 밝힌 바 있다.
세부적으로 저소득가구를 위한 ‘요금 감면’을 유도하고 디지털 전환율 자체를 끌어올리기 위해 사업자에 대한 각종 ‘규제 완화’를 추진, 1000만 가구에 이르는 아날로그 케이블 가입자의 디지털 전환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방통위의 '당근책'이 주로 케이블업계를 대상으로 하다 보니 경쟁사의 반발이 만만찮은 문제가 남아 있다.
저렴한 가격에 한정된 채널을 디지털방송으로 볼 수 있는 클리어쾀TV 도입이 난항을 겪고 있는 게 한 사례다.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는 지난 달 클리어쾀TV의 기술표준안을 회의에 상정했지만 통신사들 반대로 해당안건이 부결되는 일이 벌어지기도 했다.
◇다채널서비스, 700MHz 활용 놓고 업계 '전운'
방통위의 ‘현명한 조율 역할’은 주파수 배분에도 필요하다.
지상파 디지털 전환으로 ‘발굴’되는 주파수를 놓고 지상파방송사와 통신사가 서로 군침을 흘리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698MHz에서 806MHz에 걸쳐 있는 108MHz 대역폭은 효율성이 좋아서 '황금주파수'로 불린다.
방통위는 이 중 절반을 ‘통신용’으로 할당해 놓은 상태인데, 채널재배치가 완료되는 올해 남은 주파수 대역 용도 확정을 놓고 방송과 통신 진영의 본격적 싸움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지상파 다채널서비스도 디지털 전환 이후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이는 주파수 압축기술을 이용, 기존 지상파채널에 일반화질의 채널을 추가한 것으로 시청자 입장에선 재난, 교양, 스포츠 등 다양한 성격의 채널을 덤으로 볼 수 있지만 지상파 독과점이 여전한 국내 현실에선 시기상조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지상파 다채널서비스의 경우 지상파방송사 사이에도 이견이 존재하는 것은 물론 케이블방송 등 유료방송업계에선 지상파 파이가 더 커질 것이라며 적극 반대하는 입장에 서 있다.
앞으로 여유 주파수 대역의 활용방안을 놓고 방통위의 고민이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