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방통위 관료들이 기구와 업무 축소에 누구보다 적극적이라는 점이 흥미로운 지점이다.
이에 불똥을 맞게 된 종합편성채널(이하 종편)이 최근 민주통합당의 주장을 거들면서 방통위 축소에 반대하고 나선 점도 이례적이다.
반대로 지상파, 그 가운데 공영방송은 방통위 개편으로 정치·자본권력에 의한 장악 우려가 한층 커졌다는 해석이 많은 데도 묵묵부답이다.
세 가지를 관통하는 키워드는 ‘밥그릇’으로 장기화된 방통위 개편 과정에서 어떤 결과로 이어질지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계철 방통위원장은 지난 12일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이하 문방위)에 출석해 눈에 띄는 발언을 했다.
이 위원장은 “방통위 체제에서 정보통신기술이 제대로 성장하지 못한 것은 누구나 알고 있는 사실”이라며 “ICT 독립부처가 세워지진 못했지만 ICT 기능을 다 묶어서 미래창조과학부로 가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 위원장은 “ICT엔 방송, 통신, 방송통신 융합까지 다 포함된다”며 “이 셋을 전부 발전시킨다는 게 인수위의 개편안으로 알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 경우 방송의 공공성, 독립성이 보장 가능하겠느냐는 지적이 일자 “가능하다고 본다”는 대답도 돌아왔다.
ICT 전담부처가 필요한 이유에 대해선 “ICT는 우리가 세계 1위를 할 수 있는 분야이기 때문”이라고 자신감을 비쳤다.
민주통합당 의원들이 “방통위가 해체수준으로 가게 됐다”고 우려를 쏟아내자 이 위원장은 방통위에 발목 잡힌 정보통신 업무를 미래창조과학부로 몰아넣고 밀어줘야 한다며 반박한 셈이다.
이 위원장은 이날 “차라리 방통위를 해체하지 그러느냐”는 말을 들어야 했다.
방통위의 업무 이관에 방통위 관료들이 앞장서고 나선 점은 개편 대상에 오른 여타 부처에 견줘 이상하게 비칠 법하다.
굳이 통상업무 분할·이관에 거세게 반발하다 역풍을 맞은 외교통상부를 예로 들지 않더라도 조직 축소를 최소화 하고 싶은 게 관료사회의 인지상정이기 때문이다.
방통위 역시 인수위가 1차 정부 조직 개편안을 내놓았을 때는 충격에 휩싸였다.
당시 발표는 방통위 업무를 진흥과 규제로 나눈다는 내용이 핵심이었고 이에 따라 조직 축소는 불가피해 보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방통위가 곧장 입장을 바꿔 방송통신 업무 전반은 물론 각 부처에 흩어져 있는 ICT 업무도 미래창조과학부에 몰아넣는 것으로 인수위 보고를 마치면서 상황도 반전됐다.
인수위의 2차 발표는 방통위 업무 대다수와 과거 정보통신부 관할에 있던 우정사업본부까지 미래창조과학부에 이관하는 내용을 담았고 방통위는 즉각 환영논평을 냈다.
박근혜정부가 주력해 밀고 있는 미래창조과학부를 장악해서 방통위 이전의 구 정보통신부(이하 정통부) 모델을 복원한다는 계산 아래 진행한 일들이 일정 부분 먹혔기 때문이다.
새누리당이 인수위 개편안에 맞춰서 발의한 방통위 설치법 개정안대로라면 ICT를 전담하는 2차관은 정통부 업무에 더해 과거 방송위원회 업무까지 챙기게 된다.
진흥과 규제는 분리하기 어렵다는 사실을 감안해도 구분이 애매한 방송 규제, 방통융합 규제까지 미래창조과학부에 묻어가는 바람에 방통위는 방송담당기구로선 역대 최소규모로 쪼그라들 참이다.
조준상 공공미디어연구소장은 13일 국회 문방위 공청회에서 “조직 개편을 시스템 문제로 이해하고 싶어도 그럴 수 없는 현실이 있다”며 “방통위가 전부 싸갖고 미래창조과학부로 간다고 하는데 내가 들은 바로는 그 이유가 너무 충격적이다. 거기 우정사업본부가 가니까 기대하는 거 아니냐, 인사적체를 그렇게 해결하려하는 거 아니냐, 결국 우체국장 자리라도 어떻게 얻어 보겠다는 거 아니냐, 그런 지적이 떠돌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