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가을 광화문에서 시작된 촛불은 3개월째로 접어들었지만 여전히 전국을 뒤덮고 있다.
‘무능하고 비상식적’인 대통령에 대한 대한민국 국민들의 피 끓는 외침이 이어지고 있다.
물론 박근혜 대통령과 친박 세력들은 여전이 국민들의 목소리를 외면하고, 요지부동 중이다. 일부에서는 자각 및 인식 능력에 문제가 있는 것 아니냐는 비아냥마저 나올 정도다.
그렇다면 금융권의 대표적인 친박 인물들은 시장에서 어떤 평가를 받고 있을까.
우선 정찬우 전 금융위원회 부위원장. 금융권에서 정 전 부위원장은 이미 청와대 문고리 3인방을 등에 업고 권력을 휘두르는 인물로 잘 알려져 있다. 지난 10월 한국거래서 이사장으로 부임할 당시에는 낙하산 논란도 뜨겁게 일었다.
정 이사장은 최순실 사태가 본격 대두되면서 운둔 생활에 돌입했었다. 기자들 사이에서는 "너무 심한 것 아니냐, 너무 피하니 더 이상하다"는 불평과 의혹이 쏟아져 나올 정도였다.
하지만 최근 갑자기 모습을 드러내면서 강력한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다.
거래소 집행간부 15명을 10명으로 축소시키고, 8명을 내보내는 등 파격적인 인사를 단행했다. 지주사 전환을 위해 운영했던 경쟁력 강화 태스크포스(TF)도 해체시키면서 조직 장악력을 높이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금융권에서는 "갑자기 전횡을 휘두르는 것을 보니 더 불안하다"는 우려가 곳곳에서 제기되고 있다. ‘비정상적 행보’에 대한 불안감이다.
또 다른 친박 인물로 비쳐지는 K 은행장을 바라보는 시선도 곱지는 않다. 행장을 선임할 당시 그가 현기환 전 정무수석을 통해 정찬우 이사장과 정은보 금융위 부위원장에게 청탁을 했다는 의혹이 불거졌었다.
그럼에도 금융위는 개의치 않고 그를 행장으로 앉혔다. K 행장은 최순실 국정조사특별위원회에서 증인과 사전에 입을 맞춘 의혹을 받고 있는 친박계 이완영 국회의원의 대륜고 2년 후배이기도 하다.
금융당국의 친박라인으로 분류되는 임종룡 금융위원장 역시 대통령 탄행안 가결 이후에도 여전히 ‘박근혜표’ 금융정책을 밀어붙이고 있어 지탄을 받고 있다.
대표적인 예가 대통령 탄핵안이 가결된 후 임 위원장이 금융위 회의에서 성과연봉제 도입 강행을 가장 먼저 주문했다는 것이다. 실제로 탄핵안을 가결한 9일 금융위는 시중은행들에게 성과연봉제 도입을 이사회 의결을 통해 처리하라고 지침을 내렸다.
아무리 박근혜 대통령 탄핵이 진행 중이라고 해도 친박 인물들을 싸잡아 문제 삼는 것은 비상식이다. 그러나 공교롭게도 금융권의 대표적인 친박 인물들은 시장의 흐름에 반하거나 이해할 수 없는 행보를 보이고 있다. 이들의 움직임은 마치 분노한 민심을 외면하자고 의기투합한 모양새다. ‘비상식적’이다. 금융권에서는 ‘친박=비상식’이라는 공식이 성립됐다며 혀를 내두르고 있다.
금융시장도 투명성 제고를 위한 물갈이가 필요한 시점이다.
물론 친박, 비박 여부를 떠나 앞으로도 시장에 반하거나, 시장을 혼란시키는 모든 세력들이 발을 못 붙이게 말이다. 이는 관치에 중독된 우리나라 금융시장 개혁의 첫 걸음이 될 것이다.
고재인 금융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