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정기종 기자] 정부가 7일 경북 성주에 사드 발사대 4기를 추가 반입하면서 가뜩이나 고전 중인 항공업계와 배터리업계 한숨이 깊어지고 있다. 연초부터 이어진 중국의 보복성 조치에 양국 관계 해소만을 기다리고 있던 업계로선 경색 국면의 한반도 정세가 원망스러울 뿐이다.
중국은 지난해 7월 한미 양국이 한반도 사드 배치를 결정하자 노골적인 보복성 제재를 이어왔다. '한한령'으로 한류에 기대던 관광, 유통, 엔터테인먼트 업종이 직격탄을 맞았고 자동차, 전기차배터리 등 제조업으로까지 사드 여파가 이어졌다.
중국은 지난해 말 국내 항공사 부정기편 취항 승인 거부를 시작으로 올해 3월15일부터는 한국 단체관광상품 판매금지 등으로 제재 수위를 확대했다. 이로 인해 3월15일부터 7월까지 중국 여객은 전년 동기 대비 44.8% 급감했다. 같은 기간 전체 국제선 여객이 0.9% 증가한 점을 감안하면 눈에 띄는 감소세다. 국내 항공사들이 일본과 동남아 등 대체 노선으로 발 빠르게 대응하며 2분기 실적 방어에는 성공했지만, 능동적 대응이 불가능한 일부 지방공항의 타격은 심각한 수준이다.
정부가 7일 사드 추가 배치를 강행하면서 사드 여파로 고전해 온 항공업계와 배터리업계 걱정이 깊어지고 있다. 연초 중국의 사드 보복 조치에 한산한 인천공항 중국 수속장(왼쪽)과 중국 현지 전기차 내부를 관찰하는 관람객 모습. 사진/뉴시스
배터리업계도 날벼락을 맞았다. LG화학과 삼성SDI는 중국의 급증하는 내수 수요를 겨냥, 현지 공장까지 구축하며 의욕적으로 진출했지만 중국 당국이 핵심인 보조금 지원을 전면 중단하면서 공급의 길이 끊겼다. 중국 정부는 올 들어 발표한 8번의 보조금 지원 목록에 단 1차례도 한국산 배터리 탑재 차량을 포함시키지 않았다. 이에 LG화학과 삼성SDI는 현지 생산 물량을 유럽을 포함한 제3자 수출용으로 돌리며 임시방편으로 대응하고 있는 실정이다.
배터리업계 관계자는 “언제까지 임시방편으로 대응할 수 없는 만큼 경색된 양국 관계 개선을 기대했지만, 이번 조치로 당분간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며 “현지 공장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방안과 신규시장 모색 등으로 대책을 마련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정기종 기자 hareggu@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