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게 크게 작게 작게 메일
페이스북 트윗터
마을공동체에 주민 23만명 참여, 자치구 특화사업 절실
30~40대 여성이 중심, 자립·맞춤형 지원 필요 분석
입력 : 2018-01-30 오후 5:00:08
[뉴스토마토 박용준 기자] 서울시가 지역 관계망 회복을 위해 추진한 마을공동체 사업에 2012~2015년 4년간 최대 23만명의 주민이 참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서울연구원의 서울시 마을공동체 지원사업 성과평가와 정책과제를 살펴보면 마을공동체 1기에 해당하는 마을공동체 정책은 서울시 11개 담당부서와 25개 자치구에서 모두 56개의 단위사업을 추진했다.
 
1기 마을공동체 정책의 핵심인 저변 확대에 초점을 맞춰볼 때 4년간 참여한 주민 수는 최소 12만8743명에서 최대 23만10명으로 조사됐다.
 
최소값은 각 주민모임 회원수, 최대값은 각 결과보고서의 최종 참여자수 기준이다.
 
최소값을 기준으로 해도 유사한 주민참여사업에 비해 짧은 기간에도 투입 예산 대비 참여자의 양적 증가를 충실하게 달성했다고 볼 수 있다.
 
양적성장이 아닌 질적성장을 살펴보면, 일회성 참여가 아니라 여러 해에 걸쳐 여러 사업에 참여한 활동지속층(다치참여자) 3700명이 이에 해당한다.
 
다치참여자는 2013년부터 매년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참여횟수가 많을수록 대표제안자를 맡고 난이도가 높은 사업에 참여하는 비율이 높아지면서 지속적인 사업 주체로 성장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마을공동체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집단은 여성, 30~40대, 중산층으로 나타났다. 참여자 중 여성비율은 73%로 대표제안자와 다치참여자에서 비율이 조금 더 높다.
 
연령대로는 30~40대가 59%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으며, 20대 이하는 9%로 인구비율 대비 적게 나타났고 다른 연령대는 비슷한 수준이다.
 
서울연구원은 마을사업의 예산집행이 자립 지원과 맞춤형 지원 모두 미흡하다고 진단했다. 이를 개선하는 방안으로 ▲인건비·임대료 항목 지원 여부 재검토 ▲자부담 범위를 현금 이외에 공동체 자원까지 확대 등을 제안했다.
 
서울연구원은 “형평성보다는 다양성에 입각해서 자치구 특성을 반영한 개별모델을 개발하는 방향으로 가는 것이 바람직하다”라고 말했다.
 
서울 성동구가 마을공동체 연계망사업으로 마장초등학교 통학로 담장에 마을벽화 그리기 행사를 열고 있다. 사진/성동구
 
박용준 기자 yjunsay@etomato.com
 
박용준 기자
SNS 계정 : 메일 트윗터 페이스북


- 경제전문 멀티미디어 뉴스통신 뉴스토마토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