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게 크게 작게 작게
페이스북 트윗터
"북한 신재생에너지 확대, 배터리 제재에 '난항'"
납·니켈 등 원자재 모두 2017년 말부터 대북제재 품목 지정
입력 : 2020-09-17 오후 1:58:29
[뉴스토마토 최서윤 기자] 북한이 전력난을 타개하기 위해 추진해 온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정책이 국제사회의 배터리 제재로 난항을 겪고 있을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17일 KDB미래전략연구소 한반도신경제센터 김경원 연구원이 작성한 '북한의 배터리 이용 현황'을 보면 북한은 최근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로 에너지 저장 필요성이 증대됐지만, 대북 제재로 배터리 수급이 원활하지 않은 상황이다.
 
북한은 만성적인 전력난을 타개하기 위해 2013년 태양광·풍력·지열 등 신재생에너지 개발과 이용 장려를 골자로 한 '자연에네르기법'을 제정, 시행해오고 있다. 최근 들어선 경제력 있는 가구 중심으로 태양광 사용이 크게 늘어 전체 가구의 50% 정도에 태양전지가 보급된 것으로 추정된다. 
 
자료/KDB미래전략연구소 '북한의 배터리 이용 현황' 중 발췌
 
신재생에너지는 생산량 변화가 심해 안정적인 이용을 위해서는 에너지저장장치 이용이 필수다. 이에 북한에서도 배터리 수요가 늘었다. 조달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중국에서 수입해 유통하거나 자체 생산하기도 한다.
 
주요 생산시설로는 평양에 위치한 대동강축전지공장을 비롯해 개성과 원산, 사리원, 신의주 등 각 지역에 소규모 공장이 산재해 있다. 주로 저효율 납 배터리를 자체 생산하고, 고효율 리튬이온 배터리는 중간재를 중국에서 들여와 가공·조립하는 수준으로 파악된다.
 
그러나 2017년 말 배터리는 물론 납·니켈·알루미늄 등 원자재와 관련 제품이 모두 유엔안보리 대북제재(안보리 결의 2397호) 품목으로 지정되면서 배터리 수입과 자체 생산 모두 차질이 발생했다는 관측이다. 실제로 북한이 중국에서 수입한 배터리 등 전자제품 규모가 2017년엔 9400만달러(약 1103억원)에 달했던 반면 지난해에는 10만달러(약 1억1000만원)로 곤두박질쳤다. 
 
특히 자체 생산의 경우도 원자재 수급의 어려움으로 대동강축전지공장이 2018년 말 가동이 중단되기도 하는 등 난항을 겪고 있을 것이라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자료/KDB미래전략연구소 '북한의 배터리 이용 현황' 중 발췌
 
최서윤 기자 sabiduria@etomato.com
최서윤 기자


- 경제전문 멀티미디어 뉴스통신 뉴스토마토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