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도 붙은 전기차 보급, 현행 규제·제도는 '게걸음'
'전기자동차 보급 확대와 안전' 심포지엄 개최
주행거리 늘리는데 필요한 부분 보다 안전 요구 커져
한국교통안전공단 "정부 승인 제작부터 재활용까지 제도 마련"
현대차 "모듈, 시스템 단위의 단품 시험 등 배터리 화재 안전성 검증"
2023-05-02 15:55:31 2023-05-02 16:37:17
 
 
[뉴스토마토 표진수 기자] 최근 들어 전기차의 보급 속도가 한층 더 빨라지고 있어 안전 관리의 필요성은 과거 어느 때보다 더 높아지고 있지만, 현행 규제나 제도는 게걸음을 걷고 있습니다. 엔진으로 주행하는 내연기관차와는 달리 모터로 주행하는 전기차에도 내연기관차의 안전 기준을 적용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한국자동차기자협회는 2일 '제10회 국제전기자동차 엑스포'가 열린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전기자동차 보급 확대와 안전'을 주제로 심포지엄을 개최했습니다.
 
서귀포시 안덕면에서 전기차에 화재가 발생해 진화에 나서고 있다.(사진=뉴시스)
 
이 자리에서 친환경차 보급이 빠르게 늘어나고 있지만, 현행 규정이나 제도 대부분은 기존 내연기관 차량을 기반해 문제가 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실제 국토교통부의 통계에 따르면 지난 1월 기준 전기·수소차 및 하이브리드차를 아우르는 국내 친환경차 비율은 6.2%(159만대) 수준입니다. 이는 2020년 3.4%에 그쳤던 것에 대비하여 2배 수준으로 성장했습니다. 
 
최웅철 국민대학교 자동차공학과 교수는 "이제 배터리의 에너지 용량, 즉 주행거리를 늘리는 데 필요한 요구보다 안전에 대한 요구가 더욱 커지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최 교수는 "지난 몇 년 간의 전기차 사용경험을 통해 배터리로 인한 화재 발생 시 진압이 어렵고, 그 상황을 미리 감지 또는 예측하기가 어렵다"며 "일단 발화됐을 때 빠르게 열 폭주 현상으로 진행되면서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는 시간을 벌기조차 어려울 수도 있다는 것을 알게 됐다"고 말했습니다.
 
특히 고전압 배터리가 적용된 전기차에서의 안전사고는 이전의 내연기관 차량의 사고와는 다르게 나타납니다. 이에 대한 별도의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지만, 정부를 비롯한 제작사의 관심과 협조가 없으면 소비자들의 불안은 가중될 것이라는 지적도 나왔습니다.
 
이후경 EVall대표는 "전기차 사고에 대한 유형을 정확히 파악하고 조치 가능한 것들은 교육이나 홍보 등을 통해 미연에 방지하고, 단기에 조치가 불가한 사항은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향을 모색해야 한다"며 "전기차와 미래차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가 떨어지기 전에 관계자 모두가 합심해 체계적인 안전 정책 수립을 위해 노력해야 할 때"라고 밝혔습니다.
 
이후경 EVall 대표. (사진=표진수기자)
 
이를 두고 한국교통안전공단에서는 전기차의 핵심 부품인 고전원 배터리에 대해 사전에 정부가 승인하고 제작에서부터 폐차 및 재활용까지 관리할 수 있는 제도 개선을 마련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서주식 한국교통안정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 부원장은 "화재 발생 시 충분히 사람이 탈출할 수 있도록 다른 셀로 빠른 전이가 되지 않도록 하는 열전이 지연 성능에 대한 평가 방법을 개발 논의 중에 있고, 전기차 주행거리에 따른 성능 기준도 신설하기 위해 논의하고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완성차도 전기차 화재 안전성 강화를 위해 적극적인 모습입니다. 백창인 현대차 통합안전개발실장은 "현대차는 전기차 배터리  화재와 관련해 다양한 상황을 가정한 모듈, 시스템 단위의 단품 시험을 통해 배터리 화재 안전성을 검증하고 있다"며 "전기차 추돌시 화재 발생 사례에 대해서도 국내외에서 수집한 통계 자료를 바탕으로 개발 기준을 지속적으로 검토하고 화재 원인를 분석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제주=표진수 기자 realwater@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
인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