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지분 급감…포스코, 2차 전운
포스코 의결권 지분 12%에서 6%대까지 감소
후보 자격 요건에 전문성·글로벌…KT처럼 쟁점화 주목
총선 앞두고 포스코 쟁탈전, 여권에도 불리
자사주 대거 모은 포스코 임직원…내부 출신 유리
2023-12-20 14:19:25 2023-12-20 16:32:21
 
[뉴스토마토 이재영 기자] KT 경영권 분쟁의 아킬레스건이었던 ‘전문성’이 포스코 회장 후보 인선 절차에도 담겼습니다. KT 분쟁 땐 내부 참호라며 국민연금 등이 반대 목소리를 냈던 사유입니다. 그런데 근래 국민연금의 포스코 지분율은 급감했고 임직원은 자사주를 대량 확보한 상태입니다. 총선을 앞두고 KT 사태가 재연될 경우 정치적 이슈로 번질 수 있는 만큼 내부 출신이 유리할 것이란 관측이 나옵니다.
 
 
20일 재계에 따르면 전날 포스코가 발표한 회장 후보군 자격 요건에서 경영역량과 산업전문성, 글로벌 역량 등이 담겼습니다. 회장 선임 절차가 시작되면 이들 항목은 더 구체화될 예정인데 전문성은 뜬금 없는 낙하산을 방지하는 요건입니다. ‘글로벌’의 경우 최정우 회장을 비롯해 김학동 부회장 등의 대표적인 포스코 경영성과로 안팎에서 인식되는 부분입니다. 내부에선 글로벌 사업의 연속성을 위해서도 내부 출신이 이어가야 한다는 얘기가 나옵니다.
 
지금 회장 후보 하마평에 오른 인물 중에서 외부 인사도 전직 포스코 임원이 많습니다. 다만 유력 후보로 떠오른 권영수 전 LG에너지솔루션 부회장의 경우 상대적으로 불리합니다. 
 
만약 KT 사례처럼 정권과의 마찰이 재연되면 사외이사의 역할이 중요해집니다. 포스코는 사외이사 후보를 확대하고 선임 작업을 사전 공개해 일정 규모 이상 지분을 보유한 주주들이 적극 참여하도록 유도한다는 방침입니다. KT 때는 야권 성향 사외이사들이 회장 후보 인선 도중 대거 퇴진하기도 했지만 총선을 앞두고 그같은 상황이 벌어지면 여론이 나빠집니다.
 
이와 관련 한때 12%까지 올랐던 국민연금의 포스코 지분은 지난달 9일 기준 6.71%까지 작아졌습니다. 2020년 2월 주식 보유 목적을 단순투자에서 경영권 참여가 가능한 일반투자로 바꾸면서 주식 비중도 높였지만 이후 줄곧 매도우위를 보인 것입니다. 연금이 뒤늦게 지분을 확보하고자 들면 연금수익의 수탁자책임 목적과 배치되는 문제로 역시 정치 이슈화될 수 있습니다. 사외이사 중 감사위원 분리 선출 시엔 대주주 의결권이 제한되는 '3%룰'도 있습니다.
 
최정우 회장 등 포스코 임원들은 2020년 3월 1만9209주를 장내 취득한 바 있고 올들어 4월에는 2만7030주를 스톡그랜트로 지급받았습니다. 또 경우에 따라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는 우리사주조합이 연초 22만3605주를 사측으로부터 출연받았습니다. 최정우 회장은 이달 11일 700주를 추가 매입했습니다. 이 가운데 금융감독원은 최근 상여 지급받은 자사주 보유 내역을 올 연말부터 상세 공시하도록 규정을 개정한 것도 눈길을 끕니다. 
 
이재영 기자 leealive@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고재인 산업1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
인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