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만 하역료 '덤핑·출혈경쟁'..아시아 허브포트 지위 흔들
2011-11-08 17:36:06 2011-11-08 20:39:21
[뉴스토마토 김영택기자] 국내 항만 하역사와 터미널 운영사가 시장선점을 위한 하역료 덤핑·출혈경쟁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업계 등에서는 정부가 항만 난개발을 지양하고 항만운영의 효율화에 역점을 둬야 한다고 정책방향의 수정을 요구하고 있다.
 
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부산, 광양, 인천, 울산 등 국내 주요 컨테이너 부두의 수출입 화물은 2000만개로 약 2조원의 경제효과를 냈다.
 
특히 부산항은 세계 5위 환적화물 항만으로 동북아 허브포트로의 위상을 강화하고 있다.
 
하지만 이같이 화려한 겉모양과 달리 이면에는 과열경쟁으로 인한 가격하락과 덤핑 탓에 경쟁력과 수익성은 점점 더 악화되고 있다.
 
국내 전체 항만의 컨테이너 처리능력은 1억 TEU에 달한다. 하지만, 실가동율은 20~30% 수준에 불과하다.
 
국내 최대 부산항의 컨테이너 하역료는 TEU당 50달러, 광양항만 40달러, 인천항 40달러 등을 받고 있어 원가도 못미치는 적자운영을 하고 있다.
 
반면 아시아 경쟁국인 홍콩은 100달러, 중국 100달러, 러시아 200달러요율을 기록해 우리보다 높은 하역료를 받고 수출입항을 하고 있다.
 
지난 10년간 지방자치단체가 앞다퉈 항만개발에 나서면서 터미널 운영사들은 물량을 선점하기 위해 가격경쟁에 나섰고, 여기에 대형선사들은 우월적 지위를 이용해 하역료 인하까지 요구하고 있다.
 
이는 터미널 운영사의 경영수지 악화로 고스란히 이어져 우리나라의 항만 경쟁력을 저해하는 주요인으로 작용했다.
 
이에 전문가들은 항만운영의 효율화에 역점을 둔 정책을 하루빨리 수립해 추진해야 한다고 강력히 주장하고 있다.
 
실제 유럽의 허브포트인 네덜란드 로테르담 항만은 지난해 1000만개의 컨테이너화물을 처리했으나 경제효과는 우리보다 10배인 24조원을 벌어들였다.
 
이 같은 경제효과는 로테르담이 기항하는 대형 선박들의 급유기지로 정유산업과의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면서부터 나타났다.
 
업계 관계자는 "정부당국이 항만의 부가가치 창출에 역점을 두고 장기적인 개발 계획을 수립해 우리나라가 아시아 허브포트로의 지위를 강화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
인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