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 기자
때늦은 CNK 고발..'관료 리스크'에 뒷북친 금융당국
2012-01-18 15:05:50 2012-01-18 15:22:03
[뉴스토마토 김세연기자]  주식시장에서 자원개발 관련종목들은 흔히 '로또'로 여기진다.
 
최근 원자재값 급등으로 자원개발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가운데 대박을 꿈꾸는 개미들의 투자가 봇물처럼 이어지고 있지만 이들 종목 대부분이 뚜렷한 성과없이 기대심리에만 편승하고 있다는 점은 문제다.
 
여기에 가시적 성과에 목을 메고있는 당국의 정책적 필요성과 부적절한 관료 리스크까지 더해 진다면 개미들은 꼼짝없이 장미빛 기대감속에서 헤어나오지 못하게 된다.
 
◇"땅만 파면 노다지"..CNK 개발권 획득
 
해외 자원개발 업체인 씨앤케이인터(039530)(CNK)는 최근 당국으로부터 불공정 거래혐의로 조사를 받고 있다.
 
증권선물위원회는 18일 정례회의를 통해 카메룬 다이아몬드 광산 개발과 관련 불공정 거래 혐의를 받고있는 CNK에 대한 의결에 나선다.
 
CNK는 전신인 코코엔터프라이즈시절인 지난 2010년 12월17일 모회사인 CNK마이닝이 카메룬에서 추정 매장량만 4억2000만캐럿(전세계 연간 생산량의 2.5배) 규모의 다이아몬드 개발권을 확보했다고 밝힌 바 있다.
 
당시 오덕균 코코 회장은 "동일 광맥이 연결된 콩고에서는 이미 상업생산에 나서고 있는만큼 사업성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며 "2011년 9월까지는 확정 매장량을 발표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외교통상부도 이례적으로 보도자료를 내고 회사와 카메룬 정부의 발표만을 인용해 최소 4억2000만캐럿의 추정 매장량을 공식 발표하며 CNK에 대한 개미 투자자의 추격 매수를 부추겼다.
 
◇과대 포장, 불어나는 의혹만
 
문제는 여기서부터다.
 
투자자들은 회사와 정부부처의 해외 자원개발 성과 알리기만을 믿고 추격매수에 나섰고, 개발권 확보 발표이후 3000원대였던 주가는 한달새 5배가량 급등했다.
 
당시 코코는 당기순손실 49억원을 기록해 한울회계법인으로부터 "회사의 존속 능력에 의문을 제기할 수 있다"는 감사의견을 받은터라 이같은 개발권 확보는 새로운 모멘텀으로 주가상승을 이끄는 호재로 작용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일부 회사 임원들과 회사가 지분 처분에 나선 것으로 알려지며 내부자거래 의혹이 나돌았고 당초 발표만큼의 경제성을 갖고 있는지, 계획대로 연말부터 생산에 들어갈 수 있는 등 각종 의혹들이 제기됐다.
 
광산 개발이 본격화와 함께 급등하게 되는 주식을 회사와 임직원들이 왜 서둘러 매각했느냐는 지적이다.  
 
회사측은 글로벌 광산평가 기관으로부터 다이아몬드 광산의 경제성을 공식 인정받았다며 의혹진화에 나서기도 했지만 계속해서 확정 매장량이 아닌 추정 매장량만을 발표함에 따라 실제 성공 가능성에 대한 투자자들의 우려는 더욱 증폭됐다.
 
이러한 와중에 지난해 9월 국정감사에서 김재균 민주당 의원은 "당초 4억2000만캐럿으로 알려졌던 CNK의 카메룬 다이아몬드 매장량이 실제 CNK의 최초 탐사보고서에는 1800만캐럿에 불과하다"며 매장량 부풀리기 의혹을 제기했다.
 
박영준 전 지식경제부 차관과 김은석 외교통상부 에너지자원대사 등이 무리한 자원외교정책으로 CNK마이닝이 카메룬 다이아몬드 광산 개발권 사업권 취득 등에 도움을 줬을 것이란 주장도 나왔다. 
 
또 김 대사의 친인척이 외교부의 보도자료 발표이전 CNK 주식을 매입하며 시세차익을 거뒀고 현 정부들어 요직을 거쳤던 조중표 CNK 해외컨설팅 관련 고문의 입김이 작용했을 수 있다는 의혹도 나왔다.
 
지난해 10월부터 CNK의 카메룬 다이아몬드 광산과 관련해 김 대사 등에 대한 조사를 벌였던 감사원은 지난달 현장 조사를 마쳤고 이달 말중 감사결과를 밝힐 예정이다.
 
◇뒷북치는 금융당국, 관료리스크 '눈치'
 
증선위가 의도적 주가조작 혐의를 들어 CNK의 대표이사와 임직원에 대한 검찰 고발이 예고된 가운데, 업계에서는 이미 문제를 파악하고 있던 금융당국이 눈치를 보다 뒤늦게 나서는 모양세라고 지적하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한 업계 관계자는 "정관계 고위 인사의 연루설이 제기된 가운데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못했던 금융당국으로써도 감사원의 감사 개시와 국정감사 요구 등에 따른 압박을 더이상 외면하기 어려웠을 것"이라며 증선위의 제재 배경을 분석했다.
 
여기에 "정부부처의 공신력을 믿고 투자에 나선 개인투자자의 손해에 대해 또 다른 관료 리스크에 대한 부담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적극적 대응에 나서지 못했다"고 꼬집었다.
 
이와 함께 금융당국으로서는 민간이 선도하고 정부가 이를 뒷받침하는 자원외교 협력의 '성공 스토리'로 해외 자원개발 홍보사례를 만들어내기에 급급했기에 정부의 눈치를 볼 수 밖에 없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또 다른 전문가는 "지금은 매장량 여부가 중요한 게 아니라 정관계의 공언속에 추격매수에 나섰던 일부 개미투자자들의 피해를 어떻게 마무리 짓느냐가 관건"이라고 지적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
0/300

뉴스리듬

    이 시간 주요 뉴스

      함께 볼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