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업계, 파생상품으로 분위기 쇄신하나
2012-04-18 17:05:10 2012-04-18 17:05:29
[뉴스토마토 홍은성기자] 증권업계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수수료 경쟁에 따른 낮은 수수료와 높아지는 고객 관리비용 등이 증권사의 살림을 ‘팍팍하게' 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가운데 최근 조직개편을 하는 증권사들이 파생상품부서를 신설하거나 기존 부서에서 분리시키고 있어 눈길을 끈다.
 
18일 현대증권은 장외파생상품 개발 역량 강화를 위해 장외파생본부를 신설했다고 밝혔다. 신설된 장외파생본부에서는 파생상품 관련 기능을 통합하고 FICC(채권 및 통화•커머디티; Fixed income, Currencies and Commodities)사업 확대를 추진할 계획으로 본부 내엔 FICC세일즈부와 FICC투자부 등 2개 부서가 새로 만들어졌다.
 
이에 앞서 신한금융투자는 상품공급과 운용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S&T(Sales&Trading)그룹을 신설하고 산하에 ‘EQUITY본부’와 ‘FICC본부’를 두기로 했다.
 
유진투자증권은 독점적 경쟁력을 강화키 위해 파생법인영업부문을 신설한다고 밝힌 바 있다.
 
해당 증권사들은 파생상품 사업부문 개편이 큰 의미는 없다는 설명이다.
 
현대증권 관계자는 “특별히 파생상품을 강화하는 것은 아니지만 새로 부임한 김신 사장이 예전에 장외파생상품 부분을 맡아 본 적이 있어 이런 쪽으로 따로 역량을 강화시킨다는 시각도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증권사 관계자는 “그 동안 강화하지 않았던 부분을 강화하는 차원”이라며 “리테일과 자산관리 부문도 꾸준히 신경 쓰고 있고 특별히 파생상품부분을 어떻게 하겠다라는 것은 아니다”라고 입장을 밝혔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리테일이나 자산관리 등 기존 캐쉬카우에서는 수익을 내기 힘들어지고 있어 파생상품으로 눈을 돌리는 것이 아닌가 하는 시각도 있다.
 
실제로 증권사간 수수료 경쟁으로 인해 낮아질 대로 낮아진 수수료로 과거와 같은 수익을 내긴 어려운 가운데 금융당국은 증권업계에 고객 예탁금 이용료 인상이나 신용융자 한도제한 등을 요구하고 있어 그만큼 증권업계의 살림살이가 팍팍해질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금융투자협회 고위관계자는 “증권사 입장에서는 현재가 가장 어려운 상황일 것”이라며 “코스피 거래대금도 4조원 이하로 떨어지고 자문형 랩에서 자금도 지속적으로 빠져나가고 있어 심지어 리테일 부분은 대부분이 적자라는 소리까지 들리고 있다”고 말했다.
 
또 “차세대 먹거리로 평가 받는 IB부분도 자본시장법 통과가 지연되면서 아직까지는 지지부진한 상황이다 보니 결국 증권사들이 그나마 수익을 창출하고 있는 ELS나 DLS같은 파생결합증권에나 채권파생 쪽으로 눈을 돌리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
인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