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대폰 많이 쓰는 아동, ADHD 가능성 높아”
전자통신연구원 조사..“전자파 영향 여부 확인 필요”
2012-05-21 12:31:34 2012-05-21 12:32:21
[뉴스토마토 김원정기자] 어린이의 휴대전화 사용이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원장 김흥남, 이하 전자통신연구원)이 21일 발표한 ‘전자파 인체영향 연구결과’에 따르면 어린이의 휴대전화 사용이 많을수록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전자통신연구원은 “다만 이 같은 결과가 전자파에 의한 것인지는 확인되지 않았다”며 보다 정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어린이는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전자파 흡수율이 성인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기도 했다.
 
전자통신연구원은 “FM 방송 주파수 대역으로 활용하고 있는 100MHz 전후의 주파수대역과, 이동통신용 주파수 대역으로 활용 중인 1GHz 이상의 주파수 대역의 경우 어린이가 성인에 비해 전자파를 더 잘 흡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는 현재의 국제 전자파 강도기준을 해당 주파수 대역에서 보완하거나 어린이에 대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 게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밝혔다.
 
조사는 전국 초등학교 학생 2000명을 대상으로 지난 2008년부터 2010년까지 실시됐다.
 
한편 임산부의 휴대전화 사용이 태아의 운동ㆍ인지 기능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특별한 상관성은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전자통신연구원은 “전자파가 세포분열, 단백질 발현, 태아, 정자와 면역체계에 미치는 유의미한 생물학적 영향이 관찰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방통위의 전자파 종합대책 일환으로 기획돼 전자통신연구원과 한국전자파학회(학회장 김기채)가 주관하고 단국대 의대, 이화여대 약대, 한국원자력의학원이 참여했다.
 
연구를 총괄진행한 최형도 전자통신연구원 바이오전자파연구팀장은 “현재까지의 연구결과를 보면 전자파가 인체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결정적 증거는 없지만 그렇다고 무관하다고 단정하기도 어려운 만큼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방통위는 올해 안으로 ‘휴대전화 이용 가이드라인’을 마련해 홍보에 적극 나서는 한편 어린이ㆍ임산부 등 전자파에 취약할 가능성이 있는 계층을 대상으로 연구를 강화할 계획이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
인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