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국감)440원짜리 어묵 2500원에 파는 `바가지 휴게소`
도로공사, 운영업체의 입점수수료 폭리로 원가 원가 절감
일부 업체 유통기한 지난 '땡처리' 라면 판매도
2012-10-09 15:28:18 2012-10-09 15:31:17
[뉴스토마토 박관종기자] 재하청, 과다한 입점수수료 때문에 고속도로 휴게소의 음식값 폭리와 일명 '땡처리' 저질 식재료 사용이 여전한 것으로 드러났다.
 
민주통합당 박기춘·윤후덕·이미경 의원은 9일 한국도로공사 국정감사에서 "국민들에게 저질 식재료로 만든 음식을 팔아 폭리를 취하는 고속도로 휴게소를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다"며 강하게 질타했다.
 
박 의원이 휴게소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한 휴게소가 7000원에 파는 돈가스의 재료비는 1930원으로 조사 됐다. 이는 서울 시내 모 돈가스 전문점과 비교했을 때 재료비는 870원 싼데 비해 가격은 오히려 1000원이 비싸다.
 
또 2500원짜리 꼬치어묵의 재료 원가는 고작 440원, 호두과자 2000원어치의 원가는 550원 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처럼 음식값이 턱없이 비싼 이유는 휴게소 사업자가 하청업체에 받는 수수료가 높기 때문이다.
 
휴게소 영업구조는 도로공사가 휴게소 사업자를 선정, 임대하면 휴게소 사업자는 다시 최종 하청 업체를 선정해 임대료를 받는 형식이다.
 
여기서 휴게소 식당과 매점이 휴게소 사업자에게 내는 수수료율은 매출의 40~50%나 된다. 이중 도로공사의 몫은 18% 정도다.
 
예를 들어 2500원 짜리 꼬치어묵 하나를 팔 경우 상인은 50%인 1250원을 수수료로 내고 이중 453원은 도로공사가 가져가게 되는 구조다.
 
윤후덕 의원의 조사결과 172개 고속도로 휴게소 입점업체는 모두 1375개다. 이들 중 50%이상의 높은 수수료 계약을 맺고 있는 곳은 175개 업체(12.7%)로 전체 입점업체 중 67.2%가 시중 백화점 평균 판매수수료율(32%)보다 높은 수수료 내는 등 악덕 다단계 구조의 피해를 보고 있다.
 
박 의원은 "도로공사는 이렇게 거둬들인 수수료 수입의 60% 이상을 휴게소 시설 보수 등에 사용한다고 하지만, 지난 한 해 500억원이 넘는 이익을 남겼다"며 "휴게소 서비스 개선보다는 수익에만 치중한다는 비난을 피할 수 없을 것"이라 꼬집었다.
 
윤 의원은 "과다폭리 취하는 운영업체와 원가조차 보장받기 힘든 입점업체, 관행처럼 유지돼 온 다단계착취를 모르쇠로 일관하는 도로공사의 무책임 등 총체적인 문제가 소비자에게 피해를 주고 있다"고 질타했다.
 
이 같은 수수료 폭리는 적자를 면하기 위한 입점업체의 저질 식재료 사용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미경 의원은 "식자재의 단가를 낮추다 보니 유통기한이 지났거나 도래한 라면을 싼값에 구매해 판매하는 경우가 발생한다"며 "국민건강을 크게 위협하는 상황인데도 도로공사는 오히려 이를 조장하고 있다"고 밀어 붙였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
인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