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대란 10년)②악화되는 수익성..카드사는 울상
금융당국, 카드사 최소한의 수익을 내는 구조로 변해야
카드사, 부가서비스 축소 등 내실 위주의 생존전략 필요
2013-05-23 10:00:00 2013-05-23 10:00:00
[뉴스토마토 고재인기자] 가계부채 증가로 부실 우려가 대두되면서 신용카드사의 영업규제는 더욱 강화되고 있다. 경기침체도 장기화 됨에 따라 수익성 마저 보장할 수 없는 상황이어서 카드사는 울상이다.
 
이제 카드업계는 성장을 위한 영업 확대가 아닌 생존을 위한 경영전략의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23일 금융당국 고위 관계자는 “카드사는 그동안 정부가 마련해 놓은 결제시장을 통해 일정부분 높은 수익을 거둬왔다”며 “이제는 금융시스템의 한 부분으로 최소한의 수익을 가져가는 구조로 바뀌어야 한다”고 카드사의 수익구조 변화를 예고했다.
 
◇가계부채 부실 우려 규제 강화 기조 이어져
 
한국은행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실질 가계부채는 1098조5000억원으로 전년 1046조4000억원보다 52조1000억원이 급증했다.
 
이제 1000조원을 훌쩍 넘어서며 가계부채 증가세는 빨간불이 켜졌다.
 
과거 가계부채의 주범으로 분류되던 신용카드가 금융당국에게는 주요 관리 대상이다.
 
이에 따라 금융당국은 이미 2011년부터 가계부채 종합대책의 하나로 카드사 건전성 관리에 나서고 있다.
 
2011년 6월에 카드사 레버리지(총자산/자기자본) 비율을 6배로 제한해 외형성장을 억제했다.
 
이후 같은해 12월 신용카드 시장 구조개선 종합대책을 내놔 신용카드 발급기준을 만 20세 이상, 신용등급 6등급 이상으로 제한하고 이용한도 축소, 체크카드 활성화를 위한 소득공제 한도를 25%에서 30%로 상향하는 방안을 내놨다.
 
2012년 10월에는 신용카드 리볼빙에 대한 충당금 적립기준을 강화해 영업규제 압박의 강도를 높였으며, 같은해 7월 영세가맹점의 수수료를 낮추는 新신용카드 가맹점 수수료 체계 도입방안을 밝혔다.
 
더욱이 올 4월에는 2금융권 대출금리 체계 합리화 방안을 발표해 카드대출 금리 인하가 예상되고 있어 수익성 악화는 가속화될 전망이다.
 
또 지난달 우리은행에서 우리카드가 분사하면서 전업계 카드사가 8개로 늘어나 카드시장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보인다.
 
A카드사 관계자는 “감독규제 강화 기조와 포화된 시장에 전업계 카드사가 늘어나면서 수익확대보다는 이 상황을 버틸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한 시기인 것 같다”고 말했다.
 
◇카드사 수익 하락하는 길만 남아
 
고공행진하던 카드사의 성장성과 수익성은 하염없이 추락하고 있다.
 
카드자산 증가율은 2011년 8.2%에서 2012년 4.6%로 하락했고 카드발급 수는 2011년 3.1% 증가에서 2012년 3.0% 감소로 전환됐다.
 
당기순이익 역시 대손비용 증가 등의 영향으로 2011년 1조5000억원에서 2012년 1조3000억원으로 감소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일부 신용카드회사의 주식매각이익 등 일회적 요인을 제외할 경우 당기순이익 감소폭은 더욱 확대된다.
 
 
카드사들의 수익성이 점차 악화되자 금융당국은 가계부채와 연계성이 낮은 부수업무 4가지에 대해서 업무 범위를 넓혀 주는 조치를 취했다.
 
금융위원회는 지난 3일 빅데이터를 활용한 컨설팅 서비스, 디자인·상표권 사용, 직원·소비자 대상 금융교육, 전자금융거래 등 4가지 부수업무를 확대하는 여신전문금융업법(이하 여전법) 시행령 및 감독규정 개정안을 입법예고했다.
 
이에 따라 카드사들은 기존 보험대리, 통신판매, 여행알선을 포함해 총 7가지의 부수업무를 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이같은 업무범위 확대에도 불구하고 시장의 반응은 시큰둥했다.
 
카드업계는 이번 4가지 부수업무 확대가 수익성 개선을 위한 실질적인 대안이 될 수 없다는 평가다.
 
B카드사 관계자는 “이번에 풀어준 4가지 부수업무는 카드사들의 업무와 연관성이 떨어진다”며 “규제완화된 부수업무를 통해서 수익을 창출하기 어렵기 때문에 각 카드사별로 고민을 해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C카드사 관계자도 “금융위원회에서 4가지 부수업무를 풀어주기 전에 할 만한 것을 가져오라고 했지만 이말 자체가 타 업권과 다르게 포지티브(법규로 정해진 업무 외에는 규제) 방식을 유지하겠다는 것”이라며 “타 업권은 안되는 것만 규제하고 나머지는 풀어주는 네거티브 방식의 감독방향으로 가고 있는데 유독 카드사만 카드대란이라는 원죄 때문에 옥죄고 있는 것”이라고 불만을 토로했다.
 
한편, 금융당국의 이같은 감독강화 기조에서는 카드사들이 수익성 개선이 아닌 생존을 생각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특히, 철저한 리스크 관리와 함께 부가서비스 축소 등 내실경영에 나서야 한다는 것.
 
이재연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신용카드사의 (수익성 하락의) 문제는 과비용이다”면서 “카드회원에게 과도하게 지급되고 부가서비스를 지금까지 소비자 반발 때문에 못줄이고 있었지만 앞으로는 자연스럽게 부가서비스를 줄일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됐다”고 지적했다.
 
또 이 연구위원은 “생존을 위해 카드사들은 부가서비스를 자연스럽게 축소시키는 등의 내실경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
인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