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호선 "국정원에 준 대화록, 기록원에 왜 안줬겠나"
"한 번에 안 넘겼다? 양이 많아 쪼개서 단계적으로 넘겨"
2013-07-25 14:19:22 2013-07-25 14:22:26
[뉴스토마토 박수현기자] 천호선 정의당 대표는 새누리당이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실종 사태에 대한 책임론을 문재인 민주당 의원에게 전가하고 있는 것에 대해 "말 그대로 적반하장"이라고 비판했다.
 
천 대표는 25일 SBS라디오 '서두원의 시사초점'과의 인터뷰에서 "그것은 기존의 NLL을 정쟁의 도구로 활용하려는 전략의 연장이라고 본다"며 이같이 말했다.
 
천 대표는 "문 의원이 이 문제에 대처하며 공개에 동의했던 것은 전략적인 패착이었다고 보지만 기본적으로 공개를 같이 한 것도 새누리당"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조명균 비서관이 노무현 대통령 지시로 삭제했다고 이야기했지만 어제 바로 그것이 아니라는 것을 황교안 법무장관이 인정하지 않았냐"면서 "국민을 혼란스럽게 하면서 당초의 정치적 목적을 계속 이루고 강화하려고 노력하는 그런 모습"이라고 질타했다.
 
그는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이 대화록 폐기를 지시했다는 의혹엔 "노 대통령이 삭제하라고 지시했고 국정원에 또 보내라고 했다는 이야기를 주장하지 않냐. 앞뒤가 안 맞는 이야기"라고 반박했다.
 
천 대표는 "노 대통령이 이것을 국정원에게 보관하라고 했다는 것은 이유가 있다"면서 "대통령이 지정 기록물로 이것을 넘겨놓으면 차기 대통령이나 참모들이 볼 수 없다. 전 대통령이 김정일 위원장과 어떤 대화를 나누었는지 상세하게 알리고 남북관계에 임하게 하는 것은 유익한 정보가 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그렇기 때문에 지정으로 원칙적으로 기록하지만 차기 대통령은 볼 수 있게 해주자는 것이 국정원에서 보관하라고 했던 취지"라면서 "원본은 기록물로 지정해서 대통령기록관에 넘긴 것이다. 그런데 숨기기 위해서 국정원에는 남기고 기록관에는 제대로 이관하지 않았다는 게 앞뒤가 안 맞는 이야기 아니냐"고 반문했다.
 
그는 "어차피 국정원에 남기면 더 쉽게 공개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염두에 두신 것인데 이런 앞뒤가 맞지 않은 논리로 우기고 있는데 언론도 이런 것을 걸러서 보도하지 않은 것 같고 국민도 혼란스러워 하는 것 같다"고 진단했다.
 
아울러 천 대표는 참여정부가 기록물들을 한 번에 넘기지 않았다는 지적에 대해선 "그것은 양이 많이 때문에 쪼개서 단계적으로 넘긴 것"이라고 해명했다.
 
참여정부 청와대 대변인 출신인 천 대표는 "저희가 대통령기록물 이관 법제도 준비는 2, 3년 전부터 했다"면서 "실제로 이관작업을 거의 1년 전부터 했다"고 밝혔다.
 
그는 "왜냐하면 이관한다는 것이 그냥 가지고 있는 것을 넘겨주는 것이 아니라 잘 분류해서 목록도 만들고 어떤 것은 오프라인 자료도 있고 어떤 것은 온라인 자료도 있기 때문에 그 상관성도 봐야 하고 굉장히 방대한 작업이다"고 설명했다.
 
천 대표는 "1년에 거쳐서 진행된 작업이고 그렇기 때문에 한꺼번에 넘긴 것이 아니라 한 단계 마무리 될 때마다 넘긴 것"이라면서 "쪼개서 넘겼다는 것이 어떤 나쁜 의도가 숨겨져 있는 것처럼 보이는데 실무적으로 당연히 이루어진 일이다. 그런 것들을 마치 나쁜 음모가 있었던 것처럼 연계시키는 새누리당은 그만 두어야 한다"고 성토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
인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