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가 CEO 교체 일단락..후폭풍 거셀 듯
2013-08-07 16:51:03 2013-08-08 09:30:16
[뉴스토마토 김세연기자]  KTB투자증권이 7일 강찬수 전 서울증권 사장을 전격 선임하며 하반기를 앞두고 진행됐던 증권업계의 지각변동이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고 있다.
 
각 증권사들이 올해들어 절반 이상의 최고경영자(CEO)를 교체한 가운데, 하반기 증시에 대응하기 위한 새로운 조직과 전략을 강조하고 있다.
 
◇불황속 증권업계, 수장교체 통한 분위기 쇄신
 
7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하반기를 앞두고 CEO를 교체한 곳은 우리투자증권과 KB투자증권을 비롯해 총 8곳에 달한다.
 
이날 KTB투자증권은 주원 사장이 일신상의 사유로 사의를 밝힘에 따라 강찬수 전 서울증권 사장을 신임 대표이사 겸 KTB금융그룹 경영총괄 부회장으로 내정했다고 밝혔다.
 
일부에서는 지난달 발생한 100억원규모의 지수선물 주문 실수에 따른 인사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 가운데, 회사측은 새로운 비전에 따른 조직의 요구라는 입장이다.
 
이처럼 올해 상반기중 각각의 증권사들은 실적 부진과 당면한 회사별 과제 수행을 위해 최적의 인사의 선임과 조직개편이란 카드를 꺼내들고 있다.
 
가장 눈에 띄는 곳은 상반기 증권가를 가장 뜨겁게 달궜던 인수합병(M&A) 이슈의 두 축인 우리투자증권과 KB투자증권이다.
 
우리투자증권은 민영화와 매각이라는 막중한 책임을 위해 회사설립이후 처음으로 내부출신인 김원규 전무를 사장에 선임했다. 매각 이슈를 앞두고 회사 내부사정과 가치를 속속들이 알고 있는 적임자라는 평가다.
 
김 신임 사장은 취임사를 통해 대장이 귀한 막걸리를 하사받았지만 부하들을 두고 혼자 마실 수 없어 고심하던 끝에 강에 막걸리를 풀어 군사들과 함께 마셨다는 고사성어에서 비롯된 '단료투천'을 언급하며 솔선수범을 통해 매각을 둘러싸고 어수선한 회사의 기업가치를 극대화하는데 노력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정회동 KB투자증권 신임 대표는 현직 증권사의 대표직을 역임한 만큼 부진한 시장환경을 극복하고 각종 인수합병(M&A)이슈의 중심에 서있는 KB투자증권의 도약과 발전을 이끌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성장을 최우선으로 강조한 정 대표는 '농불실시(農不失時)라는 고사성어를 통해 경쟁 금융그룹 증권사들과의 격차를 해소하고, 향후 비약적인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초석 마련의 의지를 강조했다.
 
또, 행정관료 출신인 전병조 KDB대우증권 IB부문대표와 박정희 NH농협증권 PI투자관리본부장을 영입하며 이후 예고되는 매각과 인수합병 등에 대한 경우의 수도 고려하고 있다.
 
한편, 한화투자증권은 오는 9월 주총을 통해 구조조정 전문가로 알려진 주진형 (J&C컴퍼니 대표) 신임 사장 내정자를 선임할 계획이다.
 
 
◇수장 교체이후 또 다른 '개혁'
 
올해 상반기 정기총회이후 증권사의 신임 최고경영자(CEO) 선임은 새로운 시장환경 대응에 총력을 예고하고 있다.
 
증권업계는 최근 몇 년간 극심한 불황이 이어지며 매년 구조조정을 통해 몸집줄이기에 나서왔다.
 
지점 통폐합과 인력감축 속에 임원들도 이례적으로 연봉을 삭감하며 불황타개에 총력을 기울이는 모습이다.
 
하나대투증권과 미래에셋증권, 신영증권등은 각각 새로운 리서치센터장 등의 인사를 선임하며 역량강화에 주력했다.
 
우리투자증권은 총 20%이상 임원을 줄이고 기존 8개 사업부를 4개로 축소했다.
 
자산관리부문의 대표 교체는 물론 상품지원본부를 상품전략본부를 전환해 대표직속으로 두고 황성호 전 사장이 주목했던 '100세시대 연구소'는 기존 독립본부체제에서 상품전략본부 산하로 바꿨다.
 
다양하고 투자자들의 구미에 맞는 상품 개발에 총력을 기울여 기업가치를 높이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KDB대우증권은 김기범 대표이사가 임기를 이어가는 가운데 임원을 축소하고 조직은 기존 6부문 31본부에서 5부문 1총괄 29본부로 슬림화, 전문화하는데 주력했다.
 
익명을 요구한 한 업계 관계자는 "최근 몇년간 영업권 중복이나 실적 부진을 이유로 무작정 구조조정을 통한 몸집 줄이기가 이어졌다"며 "하반기에는 축소화·집중화된 구조하에서 최고의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전문화와 다각화가 새로운 전략방향으로 자리잡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다른 증권사 관계자는 "부진한 실적탓에 작년부터 지속해온 대부분의 증권사의 구조조정은 어느 정도 일단락된 모습"이라면서도 "금융산업 규제가 여전한 가운데 자본시장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시장 개입 축소를 기대하기 힘들기 때문에 업계 스스로 수익성 개선을 위해 조직의 통합화와 상품의 전문화 노력은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
인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