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투자 3대 불안요소, '지나치다'
원화 강세·과잉 유동성 논란 등은 '괜한 걱정'
2009-05-22 15:44:00 2009-05-22 17:21:24
[뉴스토마토 정경준기자] 국내 증시가 상승 모멘텀 부재와 단기 급등에 따른 부담으로 등락을 거듭하고 있는 가운데 최근에는 원·달러 환율 급락과 과잉 유동성 논란까지 일면서 투자자의 고민이 한층 가중되고 있다.
 
'투자전략 짜기'가 그 어느 때보다 만만치 않은 상황인데, 22일 증시 전문가들은 이같은, 지난친 걱정에 대한 경계를 당부하고 있다.
 
우선 과잉 유동성 논란에 대해서는 굳이 현실화되지 않은 악재에 대해 두려워할 필요가 없다고 주문하고 있다.
 
진호 하나대투증권 연구원은 중앙은행이 유동성을 흡수하려는 움직임도 아직은 없거니와 실제 행동으로 이어진다 하더라도 아직은 먼 이야기라고 밝혔다.
 
김 연구원은 과거 사례를 보면 지속적인 금리 인하의 막바지 국면부터 이후 인상시점까지는 증시가 랠리를 이어갔다최소한 중앙은행이 실제 행동으로 옮길 때 까지는 증시 랠리에 동참하는 것이 낫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원·달러 환율 급락(원화 강세)에 대한 우려와 관련해서도 크게 걱정할 필요가 없다는 게 증시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김성봉 삼성증권 연구원은 오히려 원.달러 환율의 추가하락이 확실해 보인다면 지금이라도 주식투자에 나서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 연구원은 원화 강세는 국내 경제의 펀더멘털이 양호하다는 것을 의미하고 외국의 유동성이 국내로 유입되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주식시장에는 긍정적 영향을 준다고 분석했다.
 
과거 사례를 보면, 원화 강세일 때, 국내 제조업 중 수출기업의 매출액 성장률이나 영업이익률은 예상과는 달리 매우 양호한 흐름을 보였으며, 일부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주가가 하락한 적이 없었다는 설명이다.
 
그러나 이 같은 전망에도 불구하고 투자전략을 짜는데 여전히 불안감을 느낀다면 최근 상품가격 강세에 따른 시장 대응을 눈여겨 볼 만하다고 조언하고 있다.
 
황빈아 교보증권 연구원은 상품가격에 민감하게 등락을 보였던 에너지와 소재업종에 대한 관심을 가지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황 연구원은 현재 풍부한 유동성으로 상품시장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으며 달러 약세, 상품 투자 축소에 따른 공급 부족 우려 및 경기 회복 기대감 등으로 상품가격의 강세 추세는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뉴스토마토 정경준 기자 jkj8566@etomato.com


- Copyrights ⓒ 뉴스토마토 (www.newstomato.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
인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