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뉴스토마토 임은석 기자]주요 20개국(G20) 거시정책 공조 실무그룹(FWG)이 주요국의 정치·정책 불확실성이 높은 가운데 자산가격의 거품 가능성, 미국 금리 인상에 따른 신흥국 금융 불안 가능성에 주의해야 한다고 진단했다.
31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G20 거시정책 공조 실무그룹은 지난 28~29일 인도 바라나시에서 회의를 열고, 세계 경제 진단 및 전망을 비롯해 G20 성장 전략 등을 논의했다.
올해 세계 경제는 원자재 가격 상승, 세계 무역 증대 추세, 주요국 경제 성장률 호조 등으로 긍정적인 회복세가 나타날 것으로 전망됐다.
하지만 단기적 주요국의 정치ㆍ정책 불확실성이 높은 가운데 자산가격의 거품 가능성, 미국 금리 인상에 따른 신흥국 금융불안 가능성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됐다.
특히, 미국 재정정책과 중국 구조조정, 브렉시트 협상 등이 세계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이라는 데 회원국들은 공감했다.
중장기적으로는 총요소생산성 증가율 둔화, 고령화 및 양극화에 따른 문제 해결을 위해 정책적 역량을 주력할 필요가 있다고 진단했다.
아울러 회원국들은 중장기적 성장 동력 확보를 위해 구조개혁이 무엇보다 필요하다는데 공감했지만 G20 전체의 생산성 증가 속도 둔화 등 최근 구조개혁 이행 성과가 금융위기 이전보다 다소 약화했다고 평가했다.
이런 상황을 감안해 FWG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함께 구조개혁 이행평가 보고서를 내달 G20 장관회의에 제출하기로 했다.
보고서에는 G20 전체와 개별 회원국의 구조개혁 성과를 무역·투자개방촉진, 노동·교육, 혁신장려, 인프라 개선, 경쟁촉진 및 기업환경 개선, 포용적 성장 촉진 등 6개 분야로 구분해 개선정도를 평가할 예정이다.
포용적 성장과 관련해 회원국들은 금융서비스 소외계층의 금융 접근성 증진,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교육·보건 등 다양한 분야에서 논의가 이뤄질 수 있다는 점에도 회원국들은 주목했다.
이번 회의에 참석한 국제기구 중 하나인 국제통화기금(IMF)은 세계화로 국가 간 양극화는 줄었지만 금융위기 이후 대내적인 양극화는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무역과 기술 진보가 노동소득 분배율을 오히려 크게 감소시켰다고 지적했다.
OECD와 세계은행은 정책 추진 과정에서 성장과 분배 간 상충 지점과 시너지 효과가 모두 존재할 수 있어 국가 상황에 맞는 정책 조합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번 회의 결과는 오는 4월 20~21일 미국 워싱턴D.C. 에서 열리는 G20 재무장관회의에 보고되고, 추가 회의를 거쳐 7월 G20 정상회의에 반영될 예정이다.
지난 17일(현지시간) 독일 바덴바덴에서 열린 'G20재무장관·중앙은행총재회의'에 참석한 각국 대표의 기념사진 촬영 모습.사진/뉴시스
세종=임은석 기자 fedor01@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