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게 크게 작게 작게
페이스북 트윗터
(P2P 부실리스크)②신용 P2P 투자는 안전?…분산투자로 위험 줄여야
분산투자, 세금에도 유리…각사 홈페이지 공시 '연체율' 살펴야
입력 : 2019-03-20 오전 12:00:00
[뉴스토마토 김보선 기자] 국내 P2P 금융시장은 부동산 담보대출로 쏠림이 심한 상태다. P2P 대출은 개인과 법인에 대한 '신용대출'과 프로젝트파이낸싱(PF)·부동산·동산 등의 '담보대출'로 나뉘는데, 담보대출 비중이 65% 이상으로 쏠려있다. 
 
신용대출의 연체율은 담보대출에 비해 낮은 편이다. 금감원이 지난해 11월 P2P 대출 취급 실태를 살핀 결과, 이들의 평균 연체율은 12.5%였는데, 이 중 PF 대출이 18.7%인데 반해 개인신용대출 연체는 4.9%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핀테크'는 금융과 기술의 합성어로 금융서비스가 IT 및 모바일 기술과 결합된 새로운 유형을 말하는데, P2P 대출이 대표적이다.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시민과 외국인들이 핀테크 기술을 살펴보고 있다. 사진/뉴시스
 
신용대출 P2P를 전문으로 하는 '렌딧', '팝펀딩', '8퍼센트' 등 3곳은 지난해 P2P협회에서 탈퇴해 한국인터넷기업협회 산하 마켓플레이스금융협의회를 꾸리기도 했다. 이후 '펀다', '모우다'를 4~5번째 회원으로 승인했다. 
 
신용대출 P2P 투자는 자신의 신용도에 맞는 금리를 찾는 대출자와 수익을 추구하는 투자자를 연결시키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예컨대 신용이 나쁘지 않으나 은행에서의 대출 길이 막힌 대출자 A씨가 고이자를 부담하던 저축은행, 캐피탈, 카드론 등을 이용하는 대신 P2P 업체에서 대출을 받게 된다. 투자자 B씨는 원하는 투자 금액으로 자신의 투자성향에 맞춰 대출자의 채권에 분산투자하게 된다. P2P 업체는 차입자에게 원금과 이자를 받아 투자자에게 이익으로 돌려주는 식이다. 
 
부동산 P2P에 비해 연체율이 상대적으로 낮다고 해도 주의할 점은 있다. 
 
신용 P2P들은 투자 위험을 낮추기 위해 수십개의 채권을 묶은 포트폴리오 투자를 선보이고 있다. 투자기간과 수익률을 설정하면 조건에 맞는 포트폴리오 상품에 자동 투자되는데, 투자금을 잘개 쪼개어 여러 채권에 분산하는 만큼 일부에서 연체나 부실이 생기더라도 분산투자로 리스크를 줄이게 된다. 
 
P2P 투자는 기본적으로 원금이 보장되지 않는다. 또 P2P 투자에서 생긴 소득에는 비영업대금 이자소득세율 27.5%가 적용된다. 은행이나 저축은행 예금에 적용되는 이자소득세율 15.4%보다 훨씬 높다. 개인신용 전문 P2P '렌딧'은 소액으로 잘게 쪼개 여러개의 채권에 분산 투자하는 게 과세 면에서도 유리하다고 설명한다. 절세 효과가 커지는 이유는 세금이 부과될 때 원 단위 세금이 절사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100만원을 채권 1개에 몰아서 투자할 경우 27%인 실효세율은 100건으로 분산할 경우 14% 수준으로 낮아졌다. 
 
투자를 고려할 경우 업체별 연체율 현황도 파악하는 게 좋다. 
 
19일 기준 각사의 공시를 보면, 개인신용대출 누적잔액 1657억원인 '렌딧'의 연체율(2월말 기준)은 7.24%로 나타났다. '8퍼센트'(신용 1640억원)연체율은 개인신용 9.01%, 법인신용 21.31%로 집계된다. 법인신용 대출(1720억원) 비중이 높은 '팝펀딩'의 경우 법인신용 연체율이 0.15%, 개인신용 연체율이 9.97%로 나타났다. 
 
P2P 업계 관계자는 "신용대출 P2P에 투자할 때 안정정을 높이는 가장 좋은 방법은 분산투자다. 여러개의 우량 채권에 나눠 투자할 수록 안정적"이라며 "이 밖에도 공시나 가이드라인을 잘 준수하고 있는지, 금융위원회에 등록된 회사인지 따져서 투자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보선 기자 kbs7262@etomato.com
 
김보선 기자


- 경제전문 멀티미디어 뉴스통신 뉴스토마토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