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조용훈 기자] 작년 전국 기준 전·월세 가격이 14년 만에 하락 전환했다. 특히 월세 가격은 전년 대비 2년 연속 떨어지면서 서민 주거 부담비를 덜어냈다.
28일 통계청 품목 성질별 소비자물가조사 결과에 따르면 작년 집세(전세+월세) 지수는 104.04(2015년=100)로 전년 대비 0.1% 하락했다.
전국 집세 지수가 하락 전환한 것은 지난 2005년(-0.2%) 이후 14년 만이다.
부문별로 살펴보면 월세는 2018년(100.23)과 2019년(99.81) 각각 0.3%, 0.4% 하락했다. 작년 월세 지수는 2014년(99.7) 수준으로 되돌아갔다. 작년 전세는 0.2% 상승해 상승폭은 2005년(0.1%) 이후 가장 작았다.
지역별로는 작년 서울 집세는 0.3% 올랐다. 상승폭은 2006년(0.3%) 이후 가장 작았다. 같은 기간 서울 전셋값 역시 0.8% 오르면서 2006년(0.6%) 이후 가장 작은 수준으로 상승했다. 또 월세는 0.3% 떨어졌다. 월세가 2년 연속 하락한 것은 2005~2006년 이후 처음이다.
광역시 중에서는 울산의 집세 하락세가 두드러졌다. 울산은 전세와 월세가 각각 2.3%, 2.1% 떨어지면서 전체 집세가 2.2% 하락했다. 하락폭은 2000년(2.9%) 이후 19년 만에 최대로 지역 내 경기 침체와 부동산 가격 하락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경기도는 전월세가 각각 0.1%씩 빠지면서 평균 집세도 0.1% 하락했다. 경기도 집세의 경우 하락세로 돌아선 것은 2005년(-0.6%) 이후 처음이다.
같은 기간 경남 집세는 1.9% 내려 2000년(-2.6%) 이후 최대 낙폭을 기록했고, 경북과 충남 역시 각각 1.3% 감소했다. 또 충북(-0.6%)과 강원(-0.3%), 제주(-0.2%)도 줄줄이 집세 하락 현상이 나타났다.
이외에도 같은 기간 부산 집세는 0.5% 하락했고, 대전과 대구 역시 각각 0.2%, 0.1% 떨어졌다.
주요시도 가운데 전셋값이 상승한 지역은 서울, 인천, 광주, 강원, 전북, 전남 등이었으며, 월세가 상승한 지역은 전남이 유일했다.
전셋값 하락은 울산처럼 지역 경기 침체 및 유입인구 감소 등에 따른 영향과 함께 최근 2∼3년간 빚어진 서울 등 수도권 부동산 시장이 과열된 것도 한 원인으로 풀이된다. 주택가격 상승 기대 속에 전세 수요가 매매 수요로 전환됐고 상대적으로 전셋값이 하락하는 결과를 낳은 것이다.
작년 12월15일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에서 서울도심 아파트가 보이고 있다. 사진/뉴시스
세종=조용훈 기자 joyonghun@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