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김하늬 기자] 노동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정부·민간 등이 노력을 꾀하고 있지만 여전히 제조업에 비해 서비스업 생산성 증가세가 3분의1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서비스업 중에서도 소매업·음식업·연구개발업의 노동생산지수가 현저히 떨어졌다. 이에 여전히 선진국에 비해 부가가치 비중이 낮은 서비스업 노동생산성을 끌어올리기 위해 고부가가치 중심의 생산성 제고 방안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16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공시된 노동생산성지수(산업생산기준)에 따르면 작년 3분기 산업생산기준 노동생산성지수가 2015년 100을 기준으로 볼 때 제조업은 110.6으로 나타났다. 반면 서비스업은 103.7에 그쳐 증가율이 4년새 3배 가까이 차이가 나타났다. 전산업 노동생산성지수는 104.4다. 2015년 이후 제조업의 노동생산성은 10.6% 증가했지만 서비스업은 3분의1 수준에 그치는 3.7% 상승에 그치면서 전체 노동생산성을 갉아먹고 있는 것이다. 노동생산성지수는 투입된 자원에 비해 산출된 생산량이 어느 정도인가를 대변하는 척도다.
서비스업 중에서도 자영업자가 주류인 음식점 및 주점업, 연구개발업, 소매업 등의 노동생산성지수는 두 자릿수로 떨어졌다. 음식점 및 주점업의 경우 2015년 100에서 2016년 103.4, 2017년 101.5로 하락하더니 2018년 99.1로 떨어진 후 작년 3분기 96.1로 낮아졌다. 자동차를 제외한 소매업 또한 2016년 100에서 2017년 95.6, 2018년 97.4, 작년 3분기엔 94.1까지 떨어졌다. 영세 자영업자가 많은 도소매업, 음식숙박업의 쇠퇴가 서비스업 노동생산성을 깎는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는 것이다.
지식집약적 속성이 강해 고부가가치를 창출해야 하는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은 자영업 중심의 도소매업·음식업보다 더 고전중이다. 특히 미래에 투자하는 연구개발(R&D)업은 작년 3분기 기준 84.9로 나타났고, 기타 전문, 과학 및 기술서비스업은 70.1에 그쳤다. 소프트웨어 개발, 정보통신서비스, 지식재산권서비스 등 사업서비스 분야의 경쟁력에서 크게 뒤처지고 있는 셈이다.
전문가들은 서비스산업에 대한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만큼 양질의 일자리 창출로 이어질 수 있도록 중장기 전략에 생산성 제고 방안을 포함시켜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김성태 KDI 경제전망실장은 "한국은 다른 선진국에 비해 서비스산업 부가가치 비중이 작고 생산성도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어 아직까지 성장잠재력이 충분히 현실화되지 못했다"며 "인구구조 고령화, 삶의 질 향상 등과 밀접한 서비스산업은 생산성 제고를 통한 고부가가치 창출과 시장 확대가 기대되는 분야"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를 위해 기술발전과 서비스시장 확대 과정에서 예상되는 이해당사자들 간의 갈등을 조율하고 확산시킬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세종=김하늬 기자 hani4879@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