펄펄 끓는 서울 집값…'노·도·강'도 오른다
신고가 거래 잇따라…집값 상승 기대 2년10개월 만에 최고
7월 아파트 거래량도 4년 만에 1만건 돌파 전망
2024-08-22 16:20:10 2024-08-22 17:32:40
 
[뉴스토마토 홍연 기자] 정부가 공급 확대 카드를 꺼내들었지만 서울 집값 상승세는 좀처럼 꺾이지 않고 있습니다. 상대적으로 집값 상승이 더디었던 '노도강(노원·도봉·강북구)'에서도 신고가 거래가 연이어 쏟아지는 등 매수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9월부터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가 서울과 수도권을 중심으로 강화하는 만큼 '막차 수요'에 따른 매매 급증 현상도 우려되고 있습니다.
 
22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8월 3주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가격은 전주 대비 0.28%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상승 폭은 전주 0.32%에서 0.04% 포인트 감소했지만 오름세를 유지하고 있는데요. 서울 집값은 22주 연속 상승하고 있습니다.  
 
한국부동산원은 “서울의 경우 서초구, 강남구를 중심으로 상승 거래가 발생하고 있으며, 마포구, 용산구 등 강북권 소재 인기 단지는 매도희망가격 상승에 따른 관망 분위기가 다소 존재하나, 여전히 상승세 유지하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지역별로 보면 서초구의 상승 폭이 가장 컸습니다. 서초구는 반포·잠원동 한강변 선호단지 위주로 올라 전주 대비 0.59% 상승했습니다. 이어 성동구(0.57%)는 금호·행당동 역세권 대단지 위주로, 송파구(0.48%)는 신천·잠실동 위주로, 강남구(0.39%)는 개포·압구정동 위주로 올랐습니다.
 
서울 전역 집값이 모두 오르면서 '노도강(노원·도봉·강북구)' 집값도 올랐는데요. 노원구는 0.12%, 도봉구는 0.10%, 강북구는 0.19% 상승했습니다. 매수세가 확산하면서 신고가 거래도 연이어 나오고 있습니다. 
 
(자료=한국부동산원)
 
부동산 지표, 일제히 '과열' 경고등…"집값 더 뛴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도봉구 창동 '창동신도브래뉴1차' 전용면적 121㎡는 지난 12일 10억1000만원에 거래되며 신고가를 기록했습니다. 이전 최고가인 2020년 8억9900만원보다 1억1100만원 오른 가격입니다. 노원구 상계동 '한일유앤아이' 전용 114㎡도 지난 10일 10억4000만원에 팔려 신고가를 경신했습니다. 서울시가 강북 지역 일대 정비 사업에 속도를 내며 매매 수요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주택가격 상승을 기대하는 심리인 주택가격전망 소비자동향지수도 2년10개월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8월 주택가격전망지수는 118로 전월보다 3포인트 상승했는데요. 수도권 아파트 매매거래가 늘고 가격 상승세가 지속되면서 가격 기대감이 높아졌다는 분석입니다.
 
7월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량이 크게 늘면서 약 4년 만에 최종 거래량이 1만건을 돌파할 것이란 전망도 나옵니다. 서울 아파트 매매거래량은 지난 2월 2653건에서 3월 4401건으로 급격히 오른 뒤 4월 4599건, 5월 5104건, 6월 7482건에 이어 이달까지 5개월 연속 상승세입니다. 자치구별로는 노원구가 6월 443건에서 7월 673건으로 200건 이상 증가하며 거래량이 가장 많이 늘었습니다.
 
전문가들은 대출규제로는 시장에 큰 영향이 없고, 공급 대책은 단기간에 아파트 공급이 늘어나는 것은 아닌 만큼 당분간 상승세가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윤지해 부동산R114 리서치팀장은 "공급량 부족이 예상돼 서두르는 수요도 있지만 중요한 포인트는 공사비 상승으로 분양가가 오르면서 매매 수요가 늘어난 것"이라면서 "거래량 증가 현상은 올해뿐만 아니라 내년에 지속될 가능성 크다"고 말했습니다.
 
이용만 한성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공사비 인상에 따른 물량감소, 금리 이슈 등으로 서울 집값이 오르고 있다"면서 "장기적이고 가시적으로 신축 착공이 많이 돼 물량에는 문제가 없다는 기대를 형성해 주고, 공사비 등 주택을 공급하는 데 있어 애로 요인을 제거하는 것이 관건"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박합수 건국대 부동산대학원 겸임교수는 "집값 과열을 막기 위한 대출 조이기는 궁극적으로 정작 보호대상인 중산층과 저소득층의 대출 상환 부담을 늘리며 소비가 위축될 여지가 확대돼 바람직한 정책이 아니다"라고 했습니다. 
 
홍연 기자 hongyeon1224@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강영관 산업2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